은행 임원 성과급 3년간 분할지급 한다

은행 임원 성과급 3년간 분할지급 한다

입력 2010-04-29 00:00
업데이트 2010-04-29 10: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중은행들이 올해부터 임원 성과급을 3년간 나눠 지급하기로 했다.단기 실적 올리기에 치중해 과도한 투자를 했다가 위기 시 큰 손실을 가져오는 것을 차단하려는 조치다.

 은행들은 과다한 성과급 논란을 피하고자 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을 폐지하는 대신 실적과 성과급 간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보상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29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올해부터 임원과 딜러 등 투자금융 전문인력에 지급되는 성과급의 50~60%를 3년간 분할 지급키로 하고 최근 정관을 변경했다.

 또 이월 성과급의 절반 이상은 스톡그랜트(성과연동주식) 등으로 지급하도록 했다.

 재임 기간에 투자한 부분이 부실화되면 퇴임 이후라도 성과급 일부를 공제할 수 있도록 했다.

 우리은행은 리스크담당 사외이사와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으로 구성된 보상위원회를 설치하고 임원의 성과급을 3년간 분할 지급키로 했다.

 행장의 경우 올해 실적에 대한 성과급을 내년에 40%만 주고,나머지 60%는 3년 후부터 3년간 분할해 주는 것으로 확정했다.부행장과 본부장,딜러 등에 대한 성과급은 일단 내년에 60%를 주고 나머지 40%를 직급별로 차등화해 3년간 나눠 주기로 했다.

 하나은행은 전체 성과급 중 장기 성과급을 50% 이상 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또 성과급으로 지급되는 주식은 스톡옵션 대신 퍼포먼스 지분이나 퍼포먼스 유닛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퍼포먼스 지분은 주식을 성과에 따라 장기간에 걸쳐 나눠 지급하는 것으로,지급 시점 주가의 변동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지는 것으로,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퍼포먼스 유닛은 일정한 가격이 매겨진 유닛(성과급 지급 단위)을 지급하는 것으로 성과에 따라 유닛의 수량이 달라진다.

 다만 성과급 지급 시기에 대해서는 3년 후에 한꺼번에 지급할지,3년간 나눠 지급할지 등 여러 가지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한은행도 스톡옵션 제도를 폐지하고 스톡그랜트나 퍼포먼스 유닛 제도로 대체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은 임원 성과급을 전년도 경영평가를 바탕으로 국책은행 경영평가 지급률에 따라 △은행장 0~200% △전무이사와 집행간부 0~150% △감사 0~100%를 지급키로 했다.다만 집행간부인 부행장은 경영평가와 담당 사업본부 경영평가를 합친 평가결과를 토대로 성과급을 산정키로 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임원 보상 체계를 변경한 것은 올해 성과만 보는 게 아니라 2~3년 후의 장기적인 성과를 감안해서 성과급을 주겠다는 취지”라며 “수익성을 어떻게 평가할지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각각 보상위원회를 설치해 성과급을 이연지급한다는 기본적인 큰 틀을 만들고 세부 사항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다만 리스크를 계량화해 성과에 연동시키기가 쉽지 않아 체계를 완전히 갖추기까지는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