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을 사랑하는 사람들](1)임실치즈마을 이진하 위원장

[농촌을 사랑하는 사람들](1)임실치즈마을 이진하 위원장

입력 2010-06-16 00:00
업데이트 2010-06-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치즈 테마로 부촌 일군 ‘마중물 지도자’



농촌의 위기라고 말한다. 위기에 대한 진단이 다른 만큼 처방도 다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 게 있다. 농촌이 사람 사는 곳인 만큼 이곳을 바꿀 수 있는 주체 또한 살아가는 사람과 그 이웃이라는 점이다. 서울신문은 농촌 살리기를 위해 힘쓰고 농촌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얘기를 몇 차례에 걸쳐 소개한다.


“어느 마을에나 훌륭한 이야깃거리는 있습니다. 이 소재를 잘 엮어 스토리로 만들 수 있느냐가 관건이죠.”

전북 임실군 임실읍 ‘치즈마을’은 군(郡) 지역 중 대표적 부촌이다. 연간 3만 7000여명의 관광객이 이곳을 찾아 쓰고 가는 비용은 10억여원. 58가구가 벌어들인 돈 치고는 적지 않다. 전통적 한촌(閑村)이었던 이곳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마을의 변신 뒤엔 사람이 있었다. 이진하(54) 치즈마을 정보화위원장이 그 주인공이다.

이미지 확대
이진하(맨 오른쪽) 임실 치즈마을 정보화위원장이 15일 치즈 가공 체험을 온 홍콩 관광객들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임실치즈마을 운영위원회 제공
이진하(맨 오른쪽) 임실 치즈마을 정보화위원장이 15일 치즈 가공 체험을 온 홍콩 관광객들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임실치즈마을 운영위원회 제공
이 위원장의 기억 속 고향 임실의 모습은 대부분 평범하다. 불과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그랬다. 벼농사로 농가당 한 해 1000만원이 조금 넘는 수익을 올리는 것이 전부였다. 부농(富農)의 꿈을 키우던 그는 뭔가 다른 것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 위원장은 20여년간 25차례 해외로 드나들었다. 덴마크와 일본 등 농업선진국을 돌며 우리 농촌이 살 길을 찾아나선 것. 여정에서 얻은 답은 두 가지였다. 부촌은 대부분 마을 고유의 소재로 관광산업을 벌이고 있다는 점과 사업의 중심에는 ‘마중물’ 역할을 하는 지도자가 있다는 점이다.

이 위원장이 주목한 건 치즈였다. 임실은 벨기에 출신 지정환 신부가 국내에서 처음 치즈를 생산했던 곳이다. 이야깃거리를 발견한 그는 2003년 마을 운영위원장을 맡으며 치즈생산체험마을 조성을 위해 주민들을 설득한 뒤 농식품관련기관들의 도움을 구했다.

이 위원장은 특히 교육의 힘에 주목했다. 사업 주도는 한 사람이 할 수 있으나 산업으로 일어서려면 종사자 모두의 역량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농협 농촌사랑지도자연수원의 마을 지도자 과정이 큰 도움이 됐다. 그는 “금전지원 위주인 다른 기관과 달리 연수원은 비전 제시와 의식교육을 도와 특색이 있었다.”고 말했다. 특히 농민들에게 부족했던 서비스정신을 키우는 데 좋은 기회였다. 이 위원장의 권유로 2박3일 과정의 농협 지도자연수를 받은 주민들은 몰라보게 달라졌고 마을 공동체를 일구는 데 구심적 역할을 했다.

이 위원장은 “하위직급인 반장이 안건에 따라 마을회의를 진행하고 위원장은 회원으로 참여만 하는 ‘거꾸로 조직운영’ 덕분에 창의적 사업 아이템을 많이 얻었다.”면서 “농민들이 자주적으로 사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문화를 공고히 세우는 것이 남은 목표”라고 덧붙였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0-06-16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