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등 제한분야 실질적 결과 도출”

“車 등 제한분야 실질적 결과 도출”

입력 2010-12-04 00:00
업데이트 2010-12-04 0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은 3일(현지시간) 오전 8시부터 20분간 론 커크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추가협상을 마무리한 뒤 “자동차 등 제한된 분야에 대해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했다.”면서 협상 타결을 밝혔다. 김 본부장은 짤막하게 기자들의 질문에 답한 뒤 곧바로 워싱턴 인근의 덜러스공항으로 향했다. 다음은 김 본부장과의 일문일답.

→협상이 타결됐나.

-실무적으로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한국으로 돌아가서 정부 내에서 최종적 확인을 거쳐야 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돌아가서 서울에서 공식 발표하겠다.

→실무적 합의란 무슨 뜻인가 .

-저와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론 커크 대표 사이에 이번 결과를 놓고 자기(론 커크 대표)도 최종 확인을 받고 저도 이걸로 확인을 받기로 둘 사이에 합의가 됐다.

→‘자동차 등’ 이라고 표현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미국측이 자동차 부분에 대해 요구한 것 이외에) 우리가 제기하고 요구한 사항에서도 상당한 정도로 결과를 도출했다.

→쇠고기는 논의됐나.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

→후퇴한 부분은 없나.

-전혀 없다.

→협상 결과에 만족하나.

-여러가지로 언론과 국민이 우려하는 부분도 많았고, 그걸 유념하면서 양측이 윈-윈(win-win)하는 결과를 만들어보자고 노력했다. 이번 협상이 한·미관계의 초석이 되도록 하자는 공통인식을 갖고 협상에 임했으며 나름대로 그런 결과를 도출했다고 생각한다.

→안보가 이익의 균형을 깰 수 없다고 했는데.

-나중에 자세한 얘기가 나오면 판단해 달라.

→본국 재가를 받아 동시에 발표하나.

-그렇다.

→그 사이에 결과가 뒤집어질 수 있나.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본다.

→미국측의 자동차에 대한 관세 2.5%를 3년내 철폐키로 한 기존 협정문 조항을 수정하기로 했나.

-자세한 얘기는 나중에 하겠다.

→농산물 분야에서 미국측의 양보가 있었나.

-우리가 요구한 사항도 있었고 그 부분에 대해 합의가 있었다.

→미국 시장의 자동차 관세철폐 기간을 유예하고 대신 농산물 분야에서 우리가 양보를 얻어내는 식으로 이익의 균형을 맞춘 것인가.

-농산물이라고 하면 범위가 크다. 미국은 처음부터 자동차에 굉장히 집중했다. 자동차 교역에서 불균형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해 균형을 맞추는데 노력을 했다. 다른 농산물 이외에 다른 몇가지가 더 있다. 자세한 내용은 발표를 기다려 달라.

→미국도 상당히 만족하면서 돌아갔는데.

-윈-윈(win-win)하는데 상당히 노력했다.

→가장 힘들었던 부분은.

-역시 자동차였다. 자동차 부분에서 미국의 업계 요구가 굉장히 컸던 것 같다.

컬럼비아(미 메릴랜드주) 김균미특파원

kmkim@seoul.co.kr
2010-12-04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