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아 출산 연령 30세 넘었다

첫째아 출산 연령 30세 넘었다

입력 2011-02-24 00:00
수정 2011-02-24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회 전반적으로 초혼이 늦어지면서 지난해 첫째아 출산연령이 처음으로 30세를 넘어섰다. 첫째아를 출산하는 산모의 평균연령은 최근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올라갔으며, 둘째아와 셋째아를 출산하는 연령도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반면 출생아 수와 합계 출산율은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미지 확대
●합계출산율 3년 만에 증가세

통계청은 23일 ‘2010년 출생·사망 잠정통계’를 발표해 산모의 첫째아 출산 시 평균연령이 30.09세로 처음으로 30세를 넘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29.85세)보다 0.24세 많아진 것이다. 첫째아를 출산하는 산모의 평균연령은 10년 전(2000년·평균 27.68세)에 비해 2.41세 높았다. 청년 실업 등 사회경제적 요인 때문에 결혼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체 평균 출산연령도 지난해 31.28세로 전년보다 0.31세 높아졌다. 10년 전인 2000년보다 2.26세 많아졌다. 둘째아와 셋째아 출산 연령도 각각 32세, 34.03세로 전년보다 0.2세, 0.13세 높아졌다.

반면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은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46만 9900명으로 전년(44만 4800명)보다 2만 5100명 증가했다. 또 지난해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1.22명으로 전년(1.15명)보다 0.07명 증가했다.

20대보다는 30대의 출산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대 후반(25~29세) 출산율(여성인구 1000명 당 출생아 수)은 79.8명으로 전년보다 0.6명 하락했으나 30대 초반(30~34세) 출산율은 112.7명으로 전년보다 11.9명이나 증가했다. 2006년 이후 20대 후반보다 30대 초반의 출산율이 높아졌으며, 두 연령층의 출산율 차이는 최근에 더 벌어지고 있는 추세다. 이에 대해 통계청 서운주 인구동향과장은 “1979년생으로 대변되는 베이비붐 2차 세대의 인구층이 두꺼운데, 그 연령대가 30대에 진입하면서 첫째아를 낳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셋째아 출산은 25년 만에 최고치

특히 전체 출생아 중 첫째아 비중은 감소하고 둘째아와 셋째아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다. 즉, 다자녀 가정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출산 순위별로 첫째아 비중은 50.3%로 전년보다 1.8%포인트 감소했지만, 둘째아는 39.0%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2004년(39.3%)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또 셋째아 이상은 10.7%로 전년보다 1.2%포인트 증가해 1985년(10.9%) 이후 2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고령자가 증가하면서 지난해 사망자는 25만 5100명으로 전년(24만 6900명)보다 8200명(3.3%) 증가했다. 이런 증가폭은 1994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치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1-02-2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