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CNPC·페트로차이나)가 리비아에서 전 직원의 철수를 지시했고, 독일과 프랑스, 스페인 등 다른 외국 정유사들도 잇따라 석유 생산의 전부 또는 부분 중단에 돌입했다.
24일 배럴당 110달러를 돌파한 국제유가는 리비아발 유가불안으로 계속 흔들리고 있다. 특히 “카다피 원수가 더 궁지에 몰릴 경우 석유 생산시설 파괴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와 맞물려 유가 불안은 더 깊어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페트로차이나는 리비아 현지시설이 공격을 받자 주재원 전원에게 본국 귀환을 지시했다고 24일 웹사이트를 통해 밝혔다. 다른 외국 정유회사들도 반정부 무장세력과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원수 친위대의 수도 트리폴리를 둘러싼 결전이 25일로 임박하자 속속 리비아에서 직원들을 철수시키고, 조업을 축소 또는 중단하고 있다고 AFP와 AP 등이 같은 날 전했다.
이들 회사는 항만 폐쇄 및 송유관 수송에 따른 안전 위험이 높아진 상황에서 생산활동을 중단한다는 입장이다.
독일 최대 석유회사인 빈터스할은 리비아 사태에 따른 안전 문제를 고려, 리비아에 있는 8개 유전에서의 석유 생산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프랑스 정유업체 토탈도 이날 리비아에서의 석유 생산을 일부 중단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스페인 최대 석유회사인 렙솔은 리비아 내 석유생산량이 기존의 하루 36만 배럴에서 16만 배럴로 줄었다. 트리폴리항과 벵가지항의 활동이 중단되고 22일 자로 원유 터미널들이 폐쇄되는 등 리비아의 원유 수출이 차질을 빚고 있다.
리비아는 아프리카 최대의 석유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원유 생산의 1.7%를 차지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리비아 등 북아프리카 정국 불안 여파로 석유생산이 하루 55만~75만 배럴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리비아만 해도 평소 하루 160만 배럴에 이르던 원유 생산량 가운데 적어도 40만 배럴 정도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리비아의 원유 생산 감축은 특히 유럽의 석유시장에 큰 타격을 안겨 주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리비아에 매장된 원유가 고품질이어서 다른 제품으로 대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전 세계 석유시장에서 리비아산 원유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24일 분석했다. 리비아의 원유는 유황 성분이 적은 고품질의 원유(Sweet Crude)로, 유럽과 아시아 지역은 유황 성분이 많은 원유(Sour Crude)를 정제할 만한 시설이 많지 않기 때문에 리비아산 원유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이다.
이석우기자 jun88@seoul.co.kr
2011-02-2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