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삼성의 미래… 제대로 추진하라”

이건희 “삼성의 미래… 제대로 추진하라”

입력 2011-02-26 00:00
수정 2011-02-26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삼성 10년 뒤 먹을거리 사업 첫 윤곽

삼성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사업 투자는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꾸준히 강조해 온 ‘10년 뒤 먹을거리’ 발굴의 첫 번째 밑그림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삼성은 조기에 수익을 낼 수 있는 CMO를 시작으로 바이오시밀러(복제약), 바이오신약 개발 등 바이오제약 관련 모든 분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미지 확대
25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 사옥에서 김태한 삼성 신사업추진단 부사장이 바이오제약 진출 관련 기자간담회를 갖고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25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 사옥에서 김태한 삼성 신사업추진단 부사장이 바이오제약 진출 관련 기자간담회를 갖고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25일 삼성 발표에 따르면 바이오제약 산업 도전은 크게 세 단계 과정을 거쳐 추진된다. 우선 2013년 상반기부터 인천 송도에 3만ℓ 규모의 동물세포배양기(바이오리액터)를 가동해 다국적 제약회사들의 의약품을 위탁 생산한다. 주문자생산방식(OEM) 전문 기업으로 출발하는 셈이다.

이미지 확대


이어 가동 중인 바이오의약품 플랜트를 활용해 특허 기간이 만료된 바이오의약품을 복제해 판매한다. 바이오의약품 가운데 상당수가 2013~2019년 사이에 특허가 만료되기 때문에 늦어도 2016년에는 복제약을 내겠다는 전략이다. 이미 삼성전자는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제인 ‘리툭산’(2015년 특허 만료)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개발해 글로벌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통상 신약 개발에는 10년 정도가 걸리지만 바이오시밀러는 절반 정도인 5~6년이면 충분해 우선적으로 시작한다는 게 삼성의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1단계(생산 시설 확보)와 2단계(제품 개발 노하우 확보) 과정을 통해 얻은 역량을 활용해 바이오 신약 개발에 직접 나선다. 진정한 의미의 ‘제약사’로 거듭나는 것이다. 삼성의료원의 치료 사업, 삼성전자의 정보기술(IT)을 기반으로 다양한 융·복합(컨버전스) 사업들도 함께 추진해 GE헬스케어(미국)와 같은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김태한 신사업추진단 부사장은 “이건희 회장이 ‘바이오제약은 삼성그룹의 미래 사업인 동시에 인류의 건강과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는 만큼 제대로 추진해 달라’고 여러 차례 당부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합작사 설립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기업 규모가 작은 삼성에버랜드가 삼성전자와 동일한 규모의 지분(각각 40%) 투자에 나서는 등 ‘통 큰 행보’를 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그동안 이렇다 할 신성장 동력을 찾지 못해 ‘미래 먹을거리’에 대한 갈증이 남달랐던 데다, 바이오산업의 특성상 삼성전자 등 전자 계열사만으로는 신약 개발 및 생산, 판매 등의 모든 부문을 감당하기 힘들다는 점이 고려됐다고 삼성은 밝혔다. 삼성에버랜드는 CMO 사업 기획 단계에서부터 다른 계열사들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으며, 이부진 에버랜드 사장도 이번 결정 과정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에버랜드는 현재 연매출이 2조원가량에 불과하지만, 용인자연농원 시절부터 쌓아 온 바이오 분야에 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그린 바이오’ 분야로 불리는 농업 및 식품 관련 생명공학 분야의 전문가들을 다수 확보하고 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1-02-2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