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센티브도 적고 세종시로 옮기고… 인재 떠나는 KDI

인센티브도 적고 세종시로 옮기고… 인재 떠나는 KDI

입력 2011-03-09 00:00
업데이트 2011-03-09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매년 미국에서 세계적 박사 2000명이 몰리는 박사급 채용박람회에 참석, 인재를 모으는 유치전을 펼친다. KDI는 올 들어 지난 1월 박람회에 참석, 30명에게서 지원을 받았고 15명에게 일자리를 제안했다.

KDI에 박사급 인력이 50여명인 점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채용 규모다. 그만큼 떠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현오석 KDI원장은 8일 인터뷰에서 “일자리를 제안하면 보통 25%가 미국, 그 다음 25%가 홍콩· 싱가포르·호주 등에서 자리를 잡았다고 연락이 오고 남은 50%가량이 한국의 대학과 연구소로 온다.”며 “인재는 인센티브가 많은 곳으로 가게 된다.”고 밝혔다. 한국에 들어오는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 또한 치열하다.

40년 전 KDI가 설립될 시절 KDI 연봉은 전국 대학 평균 임금의 20배였다. 그동안 민간 경제연구소가 많이 만들어졌고 사립대학 교수들의 연봉도 많이 높아졌다. 보수 측면에서 뚜렷한 장점을 찾지 못한 데다 KDI를 포함한 국책연구기관들이 2012년 말 정부 부처와 함께 세종시로 옮겨야 한다는 점에서 KDI의 매력은 많이 떨어졌다. 이를 증명하듯 지난해부터 7명의 박사가 KDI를 떠났고 이는 다른 국책연구기관에서도 비슷한 상황이다.

KDI는 해결책을 대학과의 경쟁은 물론 협업 강화에서 찾고 있다. 민간연구소가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이라면 KDI는 이런 정보가 미치는 영향과 추후 전망을 해 정책 연구를 한다는 점에서 대학과 경쟁체제다. 그러나 때로는 협동 연구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KDI는 교수들이 함께 연구할 수 있는 겸임연구위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3-09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