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왜 하십니까

대출 왜 하십니까

입력 2011-03-28 00:00
업데이트 2011-03-28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득 상위50% - 주택마련, 소득 하위10% - 생활비용

고소득·고학력 층일수록 주택 마련을 위해 대출을 받는 반면 저소득·저학력 층일수록 대출받은 자금을 생활비·교육비 등에 소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 층이 자산을 더 늘리기 위해 대출금을 지렛대처럼 활용하는 데 비해 저소득층은 대출금을 고스란히 비용으로 쓰고 있는 셈이다. 산은경제연구소 이용우 수석연구원은 2007년 한국노동패널 데이터와 지난해 통계청의 한국가계금융조사를 활용해 27일 ‘가계부채 현황과 조달구조 분석’ 보고서를 냈다. 가계별 부채 조달방법에 대한 첫 연구라고 산은 측은 밝혔다.

이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가계의 30.4%가 주택 마련을, 20.5%가 창업 및 사업자금 조달을 부채보유의 주된 이유로 꼽았다.”면서 “이어 생활비(10.7%), 교육비(6.4%), 전세금 마련(5.3%) 등의 목적이 뒤를 이었다.”고 분석했다. 이어 “소득과 학력별로 빚을 지는 원인이 다르게 나타난다.”면서 “소득이 많고 고학력자일수록 주택 마련을 위한 빚이 늘고, 생활비를 위한 빚은 확연히 감소한다.”고 덧붙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 상위 50% 이상 계층에서는 ‘주택 마련을 위해 빚을 진다’는 응답이 35%를 웃돌았다. 같은 질문에 대한 응답률은 소득 하위 25~50%에서는 24%, 하위 10~25%에서는 16%, 하위 10% 미만에서는 11%로 줄었다. 역으로 ‘생활비를 위해 빚을 진다’는 응답률은 소득 하위 10% 미만 계층이 27%로 가장 우세했고, 하위 10~25%에서 20%, 하위 25~50%에서 15% 순이었다.

이 연구원은 “빚을 진 가계는 식품·외식(32.93%), 저축·금융자산(24.90%), 레저·여가활동(22.57%) 순서로 지출을 줄였다.”면서 “가계부채 때문에 소비가 위축되고 저축이 감소하면 성장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1-03-28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