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물가·유가 등 글로벌 인플레 압력이 변수

中물가·유가 등 글로벌 인플레 압력이 변수

입력 2011-03-28 00:00
업데이트 2011-03-28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분기 주식시장은 어떻게 움직일까. 27일 서울신문이 주요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7명에게 물어본 결과, 1분기에 터진 악재들이 수습 국면에 접어들면서 지수는 완만하게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6월 말 코스피 지수는 최소 1950에서 2300까지 바라본다고 밝혔다. 다만 인플레 위협이 복병이 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연초 2000선을 가뿐히 넘기며 출발했던 코스피 시장은 신흥국의 긴축 기조에 따른 외국인 자금 이탈로 흔들렸다. 이어 중동 민주화 시위, 동일본 대지진 등 예상치 못한 악재를 만나며 요동쳤다.

정의석 신한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은 “지난해 하반기에 5개월 연속 주가가 올라 조정 부담이 있었는데 변수들이 터져줘 적절히 잘 쉰 셈”이라고 평가했다. 유재성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신흥국의 공격적인 긴축 정책으로 소폭 조정이 예상됐지만 중동·일본 사태 때문에 시기가 앞당겨지고 폭도 컸다.”고 말했다.

●6월말 코스피 1950~2300 예상

2분기 주식시장의 향방은 글로벌 인플레 압력이 좌우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지난해 9월 무렵 선제적인 긴축에 돌입했던 중국 물가가 잡힐지가 관건이다. 조익재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경험적으로 긴축 정책을 펼친 지 6개월 정도 지나면 물가 안정 효과가 나타나는데 중국은 그 시점이 4~5월 정도”라고 설명했다. 양기인 대우증권 리서치센터장도 “4~5월쯤 중국 물가상승률이 정점을 찍고 하락하기 시작하면 긴축 강도가 약해질 것”이라면서 “외국인 자금 이탈의 원인이던 신흥국 긴축 기조가 약해지면 국내 주식시장에도 외국인이 빠르게 돌아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동발 유가 불확실성 위협요소

중동 사태 장기화로 인한 유가 불확실성은 확실한 인플레 위협 요소로 꼽혔다. 정의석 센터장은 “다국적군이 리비아에 공습을 시작했지만 사태는 장기 소강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면서 “국제 유가는 배럴당 100달러 근처에서 움직여 인플레 부담을 계속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가 실제 한국 기업들의 이익 또는 피해로 연결될지 여부도 2분기 중에 확인될 전망이다. 오성진 현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일본 기업과 경쟁 관계인 수출기업들은 수혜를 볼 수 있다.”면서도 “일본 기업의 생산 차질이 길어지면 일본산 부품 의존도가 높은 정보통신(IT) 기술 기업들의 실적은 향상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황상연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도 “일본 기업들의 재고가 4월에 다 소진되면 기업 실적과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4월만 잘 견딘다면 5~6월 주가는 1분기보다 오름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홍지민·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1-03-28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