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의 지역상권 장악 문제가 심각하다.
전통시장과 동네 슈퍼마켓들이 속속 문을 닫으면서 영세 상인들이 길거리에 내몰리고 있다.
대기업 유통업체들은 대형마트에 이어 기업형슈퍼마켓(SSM)까지 진출해 사실상 지역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거대 세력으로 성장했다. 대기업들이 ‘꼼수’까지 동원해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는 항변까지 나온다.
전문가들은 영세상인의 몰락을 방치하면 지역경제도 위협받을 수 있는 만큼 계속적인 지원책과 함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3대 대형마트 매출, 1천500개 전통시장의 1.5배
25일 중소기업청과 시장경영진흥원, 증권업계 등에 따르면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3개 대형마트의 매출 규모는 1천500여개의 전통시장 판매액을 크게 웃돌고 있다.
대형마트의 매출액은 1999년 7조6천억원에서 2010년 33조7천억원으로 네 배로 뛰었다. 반면에 전통시장의 매출액은 같은 기간 46조2천억원에서 24조원으로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지난 2007년 처음으로 대형마트와 전통시장 매출이 역전됐고 그 이후로 격차는 매년 크게 벌어지고 있다. 2010년 대형마트의 매출은 전통시장보다 10조원 가까이 많았다.
전통시장의 감소 추세를 고려하면 대기업들의 지역상권 장악력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전통시장은 2003년 1천695곳에서 2010년 1천517곳으로 7년 만에 178곳이나 사라졌다.
시장경영진흥원 상권연구팀 박세진 연구원은 “전통시장도 부익부 빈익빈의 논리가 통하는 곳으로 점포수가 20개도 안되는 시장도 있다. 이런 곳은 언제든 소멸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시장 숫자는 당분간 계속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대형마트 사업체 수 증가세도 최근 정체되는 양상이다. 2003년 265개에서 2008년 424개로 급증했으나 2009년에는 442개, 2010년에는 450개 안팎으로 지난 3년간 한자릿수 증가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대기업의 SSM이 위협적인 존재로 급부상해 전통시장의 어려움은 더해가고 있다.
SSM 사업체 수는 대형마트 증가세가 정체된 2008년 이후로 오히려 급증했다. 2008년 485개에서 2009년 677개, 2010년 928개, 2011년에는 1천45개로 3년새 두 배로 늘었다.
SSM의 매출 규모는 2003년 2조6천억원에서 2009년 4조2천억원, 2010년 5조원, 2011년 6조1천억원으로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는 것도 전통시장의 존재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평가된다.
중소기업연구원 남윤형 박사는 “대형마트와 SSM의 골목상권 잠식 이유뿐 아니라 경기 요인도 전통시장에는 큰 악재다. 시장을 주로 이용하는 서민들은 경기가 안 좋아지면 더 큰 충격을 받고 경기가 좋아져도 소비 회복이 느리기 때문에 전통시장이 백화점이나 마트보다 더 경기에 민감하다”고 설명했다.
◇대기업 ‘꼼수’에 영세 슈퍼마켓도 직격탄
대기업 유통업체 SSM의 등장은 지역상권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 전통시장 뿐 아니라 영세 슈퍼마켓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주는 등 지역경제를 위협하는 존재로 부상했다.
영세 슈퍼마켓의 점포수는 매년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매장 면적 150㎡ 이하 기준 점포의 경우 2006년 9만6천개에서 2009년 8만3천개로 감소했다.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는 2010년에는 점포수가 7만5천여개까지 줄었을 것으로 예상했다.
조합 측은 대기업이 꼼수로 SSM을 대거 늘려 영세 슈퍼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SSM의 과도한 확장을 막고자 대기업 지분이 절반을 넘는 점포를 대상으로 사업조정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최근 지분율을 조절해 조정 대상에서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조합 관계자는 “대기업의 지분이 45~49%가 된다면 실질적으로는 대기업의 지배를 받으면서도 사업조정대상에서는 제외된다. 지난해부터 새로 개점하는 점포 중 절반가량이 이런 형태”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른 업종으로 위장해 입점 예고를 한 후 기습적으로 문을 열어 사업 조정을 피하는 사례도 생기는 등 편법 개점이 늘어나고 있다. 상인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항변했다.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막대한 자본력으로 포장한 기업형 슈퍼마켓의 무분별한 확장은 지역 골목상권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중소상인 생존권 보호를 위해서라도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전통시장과 동네 슈퍼마켓들이 속속 문을 닫으면서 영세 상인들이 길거리에 내몰리고 있다.
대기업 유통업체들은 대형마트에 이어 기업형슈퍼마켓(SSM)까지 진출해 사실상 지역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거대 세력으로 성장했다. 대기업들이 ‘꼼수’까지 동원해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는 항변까지 나온다.
전문가들은 영세상인의 몰락을 방치하면 지역경제도 위협받을 수 있는 만큼 계속적인 지원책과 함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3대 대형마트 매출, 1천500개 전통시장의 1.5배
25일 중소기업청과 시장경영진흥원, 증권업계 등에 따르면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3개 대형마트의 매출 규모는 1천500여개의 전통시장 판매액을 크게 웃돌고 있다.
대형마트의 매출액은 1999년 7조6천억원에서 2010년 33조7천억원으로 네 배로 뛰었다. 반면에 전통시장의 매출액은 같은 기간 46조2천억원에서 24조원으로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지난 2007년 처음으로 대형마트와 전통시장 매출이 역전됐고 그 이후로 격차는 매년 크게 벌어지고 있다. 2010년 대형마트의 매출은 전통시장보다 10조원 가까이 많았다.
전통시장의 감소 추세를 고려하면 대기업들의 지역상권 장악력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전통시장은 2003년 1천695곳에서 2010년 1천517곳으로 7년 만에 178곳이나 사라졌다.
시장경영진흥원 상권연구팀 박세진 연구원은 “전통시장도 부익부 빈익빈의 논리가 통하는 곳으로 점포수가 20개도 안되는 시장도 있다. 이런 곳은 언제든 소멸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시장 숫자는 당분간 계속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대형마트 사업체 수 증가세도 최근 정체되는 양상이다. 2003년 265개에서 2008년 424개로 급증했으나 2009년에는 442개, 2010년에는 450개 안팎으로 지난 3년간 한자릿수 증가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대기업의 SSM이 위협적인 존재로 급부상해 전통시장의 어려움은 더해가고 있다.
SSM 사업체 수는 대형마트 증가세가 정체된 2008년 이후로 오히려 급증했다. 2008년 485개에서 2009년 677개, 2010년 928개, 2011년에는 1천45개로 3년새 두 배로 늘었다.
SSM의 매출 규모는 2003년 2조6천억원에서 2009년 4조2천억원, 2010년 5조원, 2011년 6조1천억원으로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는 것도 전통시장의 존재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평가된다.
중소기업연구원 남윤형 박사는 “대형마트와 SSM의 골목상권 잠식 이유뿐 아니라 경기 요인도 전통시장에는 큰 악재다. 시장을 주로 이용하는 서민들은 경기가 안 좋아지면 더 큰 충격을 받고 경기가 좋아져도 소비 회복이 느리기 때문에 전통시장이 백화점이나 마트보다 더 경기에 민감하다”고 설명했다.
◇대기업 ‘꼼수’에 영세 슈퍼마켓도 직격탄
대기업 유통업체 SSM의 등장은 지역상권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 전통시장 뿐 아니라 영세 슈퍼마켓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주는 등 지역경제를 위협하는 존재로 부상했다.
영세 슈퍼마켓의 점포수는 매년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매장 면적 150㎡ 이하 기준 점포의 경우 2006년 9만6천개에서 2009년 8만3천개로 감소했다.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는 2010년에는 점포수가 7만5천여개까지 줄었을 것으로 예상했다.
조합 측은 대기업이 꼼수로 SSM을 대거 늘려 영세 슈퍼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SSM의 과도한 확장을 막고자 대기업 지분이 절반을 넘는 점포를 대상으로 사업조정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최근 지분율을 조절해 조정 대상에서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조합 관계자는 “대기업의 지분이 45~49%가 된다면 실질적으로는 대기업의 지배를 받으면서도 사업조정대상에서는 제외된다. 지난해부터 새로 개점하는 점포 중 절반가량이 이런 형태”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른 업종으로 위장해 입점 예고를 한 후 기습적으로 문을 열어 사업 조정을 피하는 사례도 생기는 등 편법 개점이 늘어나고 있다. 상인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항변했다.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막대한 자본력으로 포장한 기업형 슈퍼마켓의 무분별한 확장은 지역 골목상권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중소상인 생존권 보호를 위해서라도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