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삼성건설 “경영전략 상대 기업처럼”

현대건설-삼성건설 “경영전략 상대 기업처럼”

입력 2012-03-16 00:00
업데이트 2012-03-16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 주인바뀐 후·삼성 CEO 부임후 변화

‘건설업계 시공능력 평가 1, 2위인 현대건설과 삼성물산 건설 부문(삼성건설)이 달라졌어요.’
이미지 확대


그동안 공격적인 경영기조를 이어오던 현대건설이 수익성 위주로 경영 전략을 바꾸면서 사업성이 불투명한 사업은 과감히 손을 떼는 등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에 비해 그동안 주택과 건축을 중심으로 한 ‘탄탄 경영’으로 브랜드 가치를 높여왔던 삼성건설은 해외 플랜트 수주에 눈을 돌리는 등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현대건설의 경우 현대차그룹에 인수된 이후, 삼성물산은 정연주 부회장이 부임한 이후 나타난 현상이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상반된 경영 패턴을 보여왔던 현대건설과 삼성건설이 최근 들어서는 다른 점보다 닮은 점이 많아졌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사업성없는 재건축 등 20여곳 손떼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최근 수도권과 지방에서 수주한 20여개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대한 재평가에 들어갔다. 지역별로는 부산 12곳, 대구·경북 6곳 등 영남이 18곳이며 서울이 3~4곳, 경기·인천 3~4곳 등이다.

이 사업장들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사업이 늦어지면서 사업성이 좋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 곳이거나 조합원들 간에 갈등을 빚고 있는 곳이다. 현대건설은 이들 재개발·재건축 지구 조합에 공문을 통해 사업 포기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건설이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대한 보수적인 사업 방식을 채택한 것은 현대차그룹에 인수된 이후 재경팀이 수익성 위주 수주 전략을 주문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수익성 위주로 사업 방식이 바뀌면서 공공공사에서도 저가수주를 지양하고, 수익이 나지 않는 상당수 사업을 포기하기로 했다.”면서 “장기적으로는 경영수지 개선 등의 효과가 있겠지만 수주 물량 감소 등의 역기능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실제로 부산에서 현대건설이 대거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포기하면서 해당 조합원들이 부산시에 몰려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민원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부산시가 공문으로 현대건설에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속도를 내줄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국내 주택·건축부문 위축

이에 비해 삼성건설은 전통적으로 강세였던 주택과 건축 부문이 위축된 대신 해외건설과 플랜트 분야에 수주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그동안 삼성엔지니어링 플랜트 분야 수주 등에서 혁혁한 성과를 낸 정연주 부회장이 부임하면서 나타난 변화다. 삼성엔지니어링 최고경영자(CEO) 시절인 2009년 해외에서 92억 9200만 달러의 공사를 따내 업계 1위에 올려놓은 정 부회장이 삼성물산에서도 해외 부분에 대한 공격적인 수주전략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

정 부회장은 삼성엔지니어링과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경쟁할 것은 경쟁한다며 플랜트 분야 진출을 선언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조직 개편에서 해외 관련 조직 확충도 마친 상태다. 그 결과 삼성물산의 해외 수주고는 2010년 18억 7300만 달러에서 지난해 45억 9000만 달러로 2배 이상 확대했다. 이에 대해 삼성건설 내부에서는 “건설사가 플랜트를 하지 않으면 성장에 한계가 있는 만큼 최근의 변화는 바람직한 것이다.”라는 평가와 “그래도 삼성의 강점은 건축과 주택인데 너무 위축되는 것 같다.”는 반응이 교차하고 있다.

이와 관련, 건설업계 관계자는 “현대건설의 현대차그룹 편입과 해외 수주 전문 정 부회장의 삼성물산 입성으로 두 회사가 비슷한 부분이 늘어나기는 했지만 두 기업의 유전인자가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2012-03-16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