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 배당률 4.7%…은행 수익률보다 38% 높아

신협 배당률 4.7%…은행 수익률보다 38% 높아

입력 2012-04-08 00:00
수정 2012-04-08 12: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협의 지난해 평균 배당률이 4.7%를 기록해 비과세 혜택 등을 고려하면 실질 수익률이 은행권보다 무려 38%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협중앙회는 지난해 전국 조합의 회계 결산을 거쳐 총 1천333억원이 출자금 배당 수익으로 지급됐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신협의 지난해 당기순이익 2천920억원의 45.6%에 해당하는 수치다. 전국 평균 배당률은 4.66%로 파악됐다. 신협은 1∼2월 조합원 총회에서 배당률을 확정하고서 배당금을 조합원에게 지급했다.

신협 배당금이 비과세 혜택을 받고 작년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연평균 금리가 3.99%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수익률이 은행권보다 무려 38% 더 많은 셈이다.

신협중앙회 심태영 경영지원부장은 “지난해 어려운 경제 환경에서도 2천920억원의 순익을 올리고 자산은 올 1월에 50조원을 돌파했다”며 “건전성 강화 차원에서 순익 중 1천590억원(54,4%)을 적립하고, 나머지는 조합원 배당으로 썼다”고 설명했다.

신협 배당은 외국인 대주주에게 집중되는 은행권과 달리 지역민과 조합원에게 돌아가는 ‘착한 배당’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신용협동조합법의 보호를 받는 신협은 출자금을 낸 조합원들을 상대로 저축ㆍ대출ㆍ공제업무를 하다가 1999년부터는 예탁금ㆍ적금에 대한 비조합원 거래도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