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4곳 영업정지] 장관·금감원·감사원 출신… 4개 저축銀의 ‘빽’들

[저축은행 4곳 영업정지] 장관·금감원·감사원 출신… 4개 저축銀의 ‘빽’들

입력 2012-05-07 00:00
수정 2012-05-07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임원·감사·사외이사 영입…로비 창구로 이용 가능성

“솔로몬저축은행 한 곳을 퇴출시키는데 지난해 7개 저축은행에 대해 영업정지를 시킬 때보다 더 큰 압력이 들어왔다.”


6일 저축은행 4곳 영업정지를 놓고 금융당국 관계자가 한 말이다. 그는 누가 어떤 영향력을 행사했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하지만 외부 압력이 얼마나 심각했는지를 작년 9월 저축은행 구조조정 당시와 비유했다. 솔로몬저축은행의 임석 회장이 금감원의 검사 기준에 대해 불만을 제기한 것도 넓은 로비인맥에 대한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솔로몬·한국·미래·한주 등 4개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받으면서 정·관계 고위직들이 직간접적으로 연루되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이들 저축은행이 감사나 사외이사로 소위 힘깨나 쓰는 고위직을 영입했던 것으로 나타나 파장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 2003년 임석 회장이 취임하면서 금융당국 출신들이 대거 영입됐다. 김상우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는 상근고문을 2년 정도 역임했고, 2007년 8월에는 강대화 전 금감원 심의제재국장이 사외이사에 선임됐다. 김강현 전 금감원 분쟁조정실 팀장과 윤익상 전 금감원 부국장도 감사를 지냈다. 한국저축은행은 2004년 금감원 출신인 허만조씨를 감사위원으로 임명했고, 2006년에는 금감원 출신의 이성로씨에게 사외이사직을 주었다.

신재극 전 감사교육원 교수부장은 2009년 8월에 이사로 새로 왔었고 2011년에도 재선임돼 논란을 빚었다. 금감원 외에 전직 장관과 법조·언론인들도 이들 저축은행에 재직했다.

솔로몬저축은행 사외이사에는 정충수 전 대검찰청 강력부 부장, 문원경 전 행정안전부 차관이 있었다. 장태평(현 한국마사회장) 전 농림수산식품부 장관도 2010년 사외이사였다.

한국저축은행의 경우 홍성표 연합인포멕스 감사가 현재 사외이사로 재직 중이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결국 저축은행에 있는 정·관계 고위직들은 해당 업체의 방패막이 역할을 하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5-0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