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프리즘] 사과 ‘꼭지’ 달려야 더 맛있다는데…

[경제프리즘] 사과 ‘꼭지’ 달려야 더 맛있다는데…

입력 2012-08-30 00:00
업데이트 2012-08-30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주일간 상온보관 과중 감소율 꼭지절단 사과보다 60% 적어 노동 비용 年 190억 절감 기대

경북 문경에서 사과농장을 운영하는 A씨는 수확기가 되면 가욋일이 하나 더 는다. 남편이 딴 사과에서 꼭지만 골라 자르는 일이다. 여간 품이 많이 드는 게 아니지만, 납품하는 유통업체에서 ‘꼭지 절단 사과’를 선호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불필요한 일을 하지 않아도 될 전망이다. 사과 꼭지가 과실을 더욱 맛있게 해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29일 농림수산식품부가 발표한 한국농수산대학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과를 일주일간 상온에 저장할 때 과중 감소율은 꼭지 절단 사과가 꼭지 달린 사과의 1.6배다. 푸른 색이 돌고 물기가 있는 꼭지는 과실을 최근에 수확했다는 증거로서 신선도의 지표라는 점도 지적됐다.

호주, 미국 등 외국에서도 사과는 꼭지가 달린 상태로 유통시킨다. 일본은 아예 꼭지 절단 사과를 불량품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유독 우리나라에서 꼭지 없는 사과를 선호하는 것은 꼭지가 과실에 생채기를 내는 탓에 유통·판매업체들이 싫어하기 때문이다. 농식품부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들도 사과를 살 때 크기(42%)와 신선도(25%)는 크게 따지지만 꼭지의 유무는 별로 신경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최근 들어 과수농가가 신형 선별기를 도입하고, 과일을 감싸주는 스티로폼 난좌를 이용하면서 (사과 꼭지로 인해) 생채기가 날 가능성은 많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꼭지 절단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비용으로 환산하면 연간 190억원에 이른다. 수확기 농가 노동력의 35%가 꼭지 절단 작업에 투입된다. 최근 10년간 농가인구가 24.7% 감소한 점을 감안하면, 꼭지 절단 작업은 농가 노동력의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올해부터 농협중앙회와 사과 주산지인 문경, 충주, 예산의 농산물산지거점유통센터(APC)를 통해 꼭지 달린 사과 5000t을 시범유통시킬 계획이다.

김진아기자 jin@seoul.co.kr

2012-08-30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