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18개월 연속 하락

서울 아파트값 18개월 연속 하락

입력 2012-09-11 00:00
업데이트 2012-09-11 06: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세가격은 4개월만에 오름세 전환

폭염, 장마와 유럽발 경기침체로 서울 아파트값이 1년 반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1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7월보다 0.46% 떨어져 지난해 3월 이후 18개월 연속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신도시와 수도권은 각각 0.14% 하락해 서울보다는 내림폭이 작았다.

구별로는 강동구가 1.67% 급락해 내림세를 주도했고 강남구(-0.93%)와 송파구(-0.89%) 등 주변 강남권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마포구(-0.37%), 금천구, 서초구(이상 -0.35%) 등 서울 시내 25개구가 일제히 지난달 하락세를 기록했다.

주로 강남 지역의 아파트값이 많이 떨어진 것은 재건축 단지의 약세가 깊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재건축 시세는 7월보다 무려 1.31% 급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강동구(-2.67%)와 송파구(-2.10%)는 2%가 넘는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고 강남구(-1.37%)와 서초구(-0.40%)도 침체의 골이 깊었다.

강동구는 고덕주공 재건축 사업의 지연으로, 강남구는 대치동 은마아파트에 대한 투자수요 감소로, 서초구는 반포 주공1단지의 법적분쟁으로 각각 부진한 상태다.

반면 전세가격은 서울과 수도권이 각각 0.1% 올라 월간 가격으로는 4개월만에 처음으로 하락세에서 벗어났다. 신도시 전세가격은 0.16% 상승했다.

가락시영 아파트의 재건축 이주로 송파구가 0.36% 올라 가장 상승폭이 컸고 중구(0.31%), 중랑구(0.26%), 서초구(0.22%), 구로구(0.21%)도 전셋값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부동산114 윤지해 연구원은 “대선을 앞두고 정부가 주택거래 활성화를 위한 취득세와 양도세 감면 대책을 발표했지만 지자체 협의와 국회 통과가 필요한 사안이라 수요자들은 시행 여부를 지켜봐야 한다”며 “가을 이사수요가 본격적으로 움직이고 있어 전셋값 오름세는 당분간 확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