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 부자 작년 13조원 증여

상위 1% 부자 작년 13조원 증여

입력 2012-09-20 00:00
업데이트 2012-09-20 14: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체 증여신고액의 41% 차지

우리나라 부자 상위 1%가 지난해 자녀 등 이해관계자에게 증여한 재산이 13조원에 달했다. 이는 전체 증여 신고액의 41%를 차지한다.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안민석(민주통합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작년 증여세를 낸 증여자의 상위 1%인 1천274명은 13조4천454억원의 재산을 증여하고 1조5천712억원의 세금을 납부했다.

1인당으로 계산하면 105억5천400만원을 물려줬다. 평균 증여세는 12억3천300만 원이다. 상속ㆍ증여세율은 재산가액이 30억원 이상이면 50%다.

2010년 상위 1%(966명)가 증여한 재산이 6조6천470억원, 1인당 68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많이 늘어났다.

작년 전체 증여세 신고자는 12만7천명, 증여 재산 총액은 32조5천71억원이다. 상위 1%의 증여재산이 전체의 41.36%나 된다.

상위 5%(6천373명)의 증여재산과 총결정세액 비중은 62%, 69%로 늘어난다. 이들의 증여 재산은 20조1천837억원, 총결정세액은 2조6천391억원이다.

상속재산은 상위 1%인 57명이 지난해 1조8천659억원을 물려준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45명 1조2천447억원보다 49.9%나 증가했다.

1% 중에는 100억∼500억원 이하가 87명으로 1조5천361억원어치의 재산을 상속했다. 8명은 9천520억원을 상속해 1인당 상속재산이 500억원을 넘었다.

국세청 관계자는 “그래도 이들은 증여와 상속을 정확히 신고하고 세금을 낸 납세자”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