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 내년 예산 342조…올해보다 5.3% 증가

[뉴스&분석] 내년 예산 342조…올해보다 5.3% 증가

입력 2012-09-26 00:00
수정 2012-09-26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성장률 4% 또 ‘장밋빛’ 세수 부족 재현 가능성

“과거에도 성장률 전망치를 (한 해에) 두 번 바꾼 전례가 없다. 정부는 경기전망 기관이 아니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정부가 25일 내년 예산안을 발표했다. 올해보다 5.3% 늘어난 342조 5000억원으로 나라살림(총지출)을 짰다. 최근 5년간의 연평균 증가율(4.1%)보다 씀씀이가 다소 커졌다. 나라 곳간도 크게 축내지 않고 경기도 부양하겠다는, 즉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심산이지만 “첫 단추부터 잘못 꿰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올해 우리 경제가 3.3%, 내년에 4% 성장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어서다. 국내외 경제연구기관들은 올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대부분 2%대로 보고 있다. 국책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조차 2.5%를 제시했다.

내년 4% 성장은 LG경제연구소(3.3%), KDI(3.4%)는 물론 한국은행(3.8%)보다도 높다. 박재완 재정부 장관은 이날 “국제통화기금(IMF)이 우리나라의 내년 성장률을 3.9%로 봤는데 0.1% 포인트 차이 정도는 용인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지만 IMF는 다음 달 연차총회에서 성장률을 내려 잡을 가능성이 높다.

성장률이 빗나가면 들어올 돈(재정수입)이 모자라게 되고, 이 수입에 근거해 짠 지출도 틀어지게 된다. 이런 우려는 당장 올해부터 현실화되는 조짐이다. 올해 국세는 203조 3000억원이 걷힐 전망이다. 지난해 정부가 예산을 짤 때 예상치는 205조 8000억원이었다. 2조 5000억원이나 ‘펑크’ 날 위기에 놓인 셈이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3년 만에 다시 세수(稅收) 부족에 직면하게 된 까닭은 정부가 지난해 ‘올해 4.5% 성장할 것’이라는 전제로 나라살림을 짰기 때문이다. 내년 성장률 전망도 지나치게 낙관적이어서 내년에도 비슷한 사태가 재현될 공산이 높다. 성장률이 1% 포인트 떨어지면 세수는 2조원 정도 감소한다.

기업·산업은행 주식 등을 팔아 37조원의 세외(稅外) 수입을 확보하겠다는 구상도 현실성이 약하다. 정부는 올해도 기은 주식 매각대금 1조여원을 예상수입에 넣었지만 단 한 주도 팔지 못했다. 이 항목이 ‘0원’이 됐음은 물론이다. 인천공항 매각에 대해서는 여야 할 것 없이 부정적이다.

오정근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미국 등 세계 각국의 양적완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내년에 4% 성장을 이루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게 전반적인 공감대”라면서 “정부가 작년에도 오판하더니 올해 또 장밋빛 전망으로 나라살림에 혼선을 빚게 하고 시장에도 잘못된 메시지를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두걸·김양진기자 douzirl@seoul.co.kr

2012-09-2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