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소비 ‘꽁꽁’…실질 소비지출 마이너스

가계소비 ‘꽁꽁’…실질 소비지출 마이너스

입력 2012-11-16 00:00
업데이트 2012-11-16 1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신비ㆍ세금ㆍ연금ㆍ건강보험료 등은 급증

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가계의 소비지출이 얼어붙었다.

3분기 소비지출 증가율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한가운데 있었던 2009년 1분기(-3.6%) 이후 최저치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은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소비 여력 있어도 지갑 닫아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가구(2인 이상)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은 3분기 335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증가했다.

쓸 수 있는 돈은 늘어났지만 소비심리는 꽁꽁 얼어붙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88만3천원으로 1년 전보다 24.8%나 늘어났고, 저축능력을 보여주는 흑자율(흑자액/처분가능소득)은 26.4%로 작년 동기보다 17.3% 상승했다.

평균소비성향(소비지출/처분가능소득)도 73.6%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 떨어졌다. 관련 통계가 제공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낮았다.

도시근로자가구의 3분기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67만원으로 1년 새 5.7% 증가했고 흑자액은 15.7% 늘어난 103만5천원이었다. 평균소비성향은 2.4%포인트 하락한 71.8%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확산에 통신비 지출 7.7% 급증

올해 3분기 전국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246만7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증가했다. 올 1분기의 작년대비 증가율은 5.3%, 2분기는 3.6%로 소비 둔화의 분위기가 완연했다.

물가상승분을 고려한 3분기 실질소비지출은 0.7% 감소했다. 1분기에 2.2%이던 실질소비지출 증가율은 2분기에 1.1%로 떨어진 후 하락 폭이 더욱 커지는 모습이다.

전국가구의 소비지출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무상보육과 누리과정의 정책효과가 뚜렷했다.

3월 시행된 무상보육 확대의 영향으로 복지시설 지출이 46.1%나 급감했다. 교육비 지출도 유치원비 지원ㆍ대학교등록금 인하 등에 따라 정규교육은 13.7% 감소했다.

경기 침체의 여파는 사교육비 지출에도 영향을 미쳤다. 학원ㆍ보습교육비 지출은 0.7% 떨어져 지난해 2분기(-1.0%)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보건과 관련한 지출은 3.5% 감소했다. 지난 4월 약값 인하 이후 의약품 지출이 10.3% 줄어든 영향이다.

교통비는 완성차 파업의 여파로 자동차구입(-20.2%)이 큰 폭으로 감소하며 지출이 3.4% 줄었다. 주류ㆍ담배는 담배(-5.1%)의 감소에 따라 지출이 1.5% 감소했다.

월평균 통신비는 15만5천원으로 7.7% 급증했다.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통신장비 지출액이 308% 급증한 영향이다.

주거ㆍ수도ㆍ광열비는 21만2천원으로 1년 전보다 5.6% 증가했다. 전세 대란으로 월세가구가 늘면서 실제주거비가 7.8% 증가하고 고유가의 여파로 연료비도 6.1%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소비지출에서 비중이 가장 큰 식료품ㆍ비주류음료는 4.2% 증가했고, 오락ㆍ문화 지출은 4.8%, 음식ㆍ숙박은 3.0%, 의류ㆍ신발은 2.1% 증가했다.

비소비지출은 79만2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 늘었다. 이 가운데 경상조세 지출은 15만8천300원으로 12.5% 증가했다. 고용확대에 따라 국민연금 기여금 등 연금(8.2%), 건강보험료 등 사회보험(7.2%)도 늘었다.

가계대출 증가에 따라 월평균 이자비용 지출은 9만7천으로 7.0% 증가해 가계에 부담을 줬다.

◇적자가구 비율 역대 최저

가계 소득이 증가한 데엔 근로소득 증가가 큰 몫을 했다.

전국 2인 이상 전국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414만2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증가했다. 가계소득에서 비중이 가장 큰 근로소득이 7.8% 늘어난 덕분이다. 이 시기 취업자가 50만6천명 증가하고, 상용근로자 비중이 1.1%포인트 오르는 등 고용이 개선돼 근로소득이 증가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사업소득은 0.4%, 재산소득은 38.1%, 이전소득은 3.8% 각각 늘었다.

소득분위별로 보면 모든 분위에서 소득이 증가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증가율이 9.1%로 가장 높았다. 이어 5분위(7.6%), 2분위(6.5%), 4분위(4.7%), 3분위(4.4%) 등의 순이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은 뺀 처분 가능소득도 모든 계층에서 증가했다. 1분위는 10.4% 늘어 유일하게 두자릿수의 증가율을 보였다.

저소득층의 소득이 상대적으로 많이 늘어남에 따라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5분위 배율(균등화 가처분소득 기준)은 4.98%로,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후 가장 낮았다.

적자가구 비율과 가계의 소비성향 역시 3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적자가구 비율은 24.6%로 관련 통계를 낸 2003년 이후 역대 3분기 가운데 가장 낮았다. 1분위의 적자가구 비율은 52.0%로 1년 전보다 7.3%나 떨어졌다. 저소득 가구 중 흑자를 보는 가구가 그만큼 늘어났다는 뜻이다.

소비지출을 처분 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인 평균소비성향은 73.6%로 작년 동기보다 3.9%포인트 내렸다. 소득분위별로 전 분위에서 평균소비성향이 감소했다. 그 중 1분위 감소율이 10.7%포인트로 가장 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