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피해 수출中企들 “눈뜨고 당한다”

환율 피해 수출中企들 “눈뜨고 당한다”

입력 2013-02-05 00:00
업데이트 2013-02-05 09: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출급감·원자재가상승 ‘이중고’…”해법 없어 난감”

대한상공회의소가 원·달러 환율 하락과 엔저현상으로 인한 수출 중소기업들의 피해를 조사한 결과 예상보다 심각했다.

이들 기업은 수출액 급감과 원자재가 상승의 이중고를 겪지만 풀어나갈 방법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50원 떨어지면 수출액 6.7% ↓” = 최근 원화값이 가파르게 상승하자 전자부품 제조업체 A사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1천100원대 밑으로 내려앉으면서 수출이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이 회사의 관계자는 “환율이 50원 떨어질 때마다 수출액이 6.7%씩 떨어진다”고 했다.

그는 “원가는 다소 줄지만 수출액 감소폭이 워낙 커 영업이익도 7% 가량 감소한다”고 말했다.

경기 안양의 한 제약기업인 B사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환율 하락으로 수출액이 예년보다 15%가량 줄어든데다 원부자재 가격까지 오른 탓이다.

B사측은 “이중고를 탈출하려면 수출단가 인상이 절박하다”면서도 “하지만 단가를 올리면 매출액 감소가 불 보듯 뻔해 난감하다”고 말했다.

◇”가만히 앉아서 당할 수밖에…” = 충남 아산에서 타일을 만들어 수출하는 C사는 “환율이 하락할때는 빠르고, 오를 때는 느리다”고 속상해했다.

수출 기간이 통상 1∼2달 걸리기 때문에 대금결제 때 환차손이 발생하는 것이다.

원자재가의 변동은 바이어에게 차액을 반영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지만 환율 변동은 반영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C사의 한 임원은 “눈뜨고 가만히 앉아서 당하는 기분”이라고 고충을 털어놨다.

경북 구미의 면직물 제조기업인 D사는 엔저 때문에 일본 수출길이 꽁꽁 막혔다.

전체 매출의 30%가 일본 수출에서 나오지만 수출가가 높아져 현지의 내수기업들과 경쟁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업체는 “안 그래도 우리 회사 제품이 워낙 고가여서 일본에서 경쟁하기가 쉽지 않았다”며 “한동안 엔저 때문에 고생을 해야 할 것 같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