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요금 불만 급증…기본제공량 남아

휴대전화 요금 불만 급증…기본제공량 남아

입력 2013-02-19 00:00
업데이트 2013-02-19 1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마트폰 등 휴대전화 이용자들이 요금제별 기본 제공량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면서 필요 이상의 요금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소비자원이 3G 및 LTE 휴대전화 이용자 1천511명을 설문해보니 3G ‘54 요금제’ 가입자의 월평균 음성통화 사용량이 기본 제공량의 74.3%, 문자서비스는 36.1%에 그쳤다.

LTE ‘62 요금제’ 가입자도 기본 제공량 중 음성 통화는 68%, 문자서비스는 28.6%, 데이터통신은 56.7%만 쓰는 것으로 파악됐다.

응답자의 28.4%는 기본 제공량의 잔여분을 이월해주기를 원했다. 기본요금 인하(17.9%)와 맞춤형 요금제 다양화(15.7%) 요구도 많았다.

소비자원은 이동통신사업자에게 기본 제공량 잔여분의 이월 및 맞춤형 요금제의 확대 등 요금 체계 개선을 권고할 예정이다.

통신사업자연합회는 이에 대해 “스마트폰용 통합형 정액 요금제는 미이월을 전제로 할인혜택을 제공하는 묶음형 할인상품으로 음성, 문자, 데이터를 개별 이용할 때보다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또 “다양한 요금선택권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맞춤형 요금제 출시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