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위험, 30개 신흥국중 가장 낮아”

“한국 국가위험, 30개 신흥국중 가장 낮아”

입력 2013-09-12 00:00
업데이트 2013-09-12 09: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나금융硏 보고서…”가장 높은 곳은 우크라이나”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2일 ‘신흥시장 불안과 Country Risk(국가 위험) 분석’ 보고서에서 주요 30개 신흥시장국의 국가 위험을 지수화한 결과 한국이 가장 안정적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국가 위험 지수는 2.6으로 30개국 가운데 가장 낮았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인도(2.7), 중국과 나이지리아(2.8), 인도네시아(2.9) 순으로 국가 위험이 낮았다.

국가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은 우크라이나(6.6), 베네수엘라(5.3), 헝가리(4.9), 터키(4.7), 모로코와 폴란드(4.6), 체코(4.5), 에콰도르(4.4), 루마니아(4.3) 등 주로 비(非) 아시아권에 많았다.

연구소는 “최근 인도나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신흥국의 불안이 두드러졌지만, 이는 시스템의 위기라기보다는 미국의 출구전략과 맞물린 포트폴리오 재편 과정에서 불거진 일종의 ‘금융시장 이벤트’에 불과하다는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미국의 출구전략 모색으로 국제적인 유동성이 줄어들 가능성이 확산해 외국 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경제 기반이 취약한 일부 신흥국의 불안이 커졌지만, 국가 위험만 놓고 따지면 아시아보다는 동유럽이나 중남미 지역이 더 크다는 것이다.

연구소의 장보형 경제연구실장은 “최근 신흥시장 불안은 각국의 국가 위험이나 국제적인 시스템 충격에 따른 ‘시스템 위기’로는 보기 어렵다”며 “자산 조정과 맞물린 신흥시장 불안은 점차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