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의 개인연금 가입률이 낮아 사적 연금을 활용한 노후준비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15일 보험개발원이 분석한 ‘2012년 개인연금 가입 현황’ 자료에 따르면 개인연금 가입자는 800만명(15.7%)이며 이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자는 가입률이 5.7%에 불했다.
개발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는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을 합한 노후연금이 과거 소득의 70∼80%를 대체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한국은 이에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OECD 국가들의 평균 공적연금 소득대체율은 지난해 기준으로 54.4%였다.
그러나 한국의 공적연금 소득대체율은 40년 가입기준으로 39.6%이고 국민연금 평균 가입기간이 27년인 점에 비춰 실질적인 소득 대체율은 25.8∼30.7%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사적연금 가입자의 소득대체율은 약 21.2%(퇴직연금 13%, 개인연금 8.2%)로 역시 OECD 등 국제기구 권고비율(40%)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개발원은 “고령자 가운데 사적연금 미가입자가 많아 연금을 이용한 노후준비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개인연금 가입률을 연령대별로 보면 40대(28.0%)가 가장 높고 30대(25.3%), 50대(22.9%), 60대(9.7%), 10대이하 (6.3%), 70대이상(1.5%) 등 순이다.
10대 이하는 부모들이 자녀의 장래를 위해 미리 개인연금에 가입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됐다.
시도별 가입률은 서울(20.3%), 울산(20.2%), 광주(17.5%) 등 순이다.
은퇴준비가 가장 활발한 40∼50대의 지역별 가입률 격차는 15.6%포인트(울산 34.7%, 강원 19.1%)에 달했다.
연합뉴스
15일 보험개발원이 분석한 ‘2012년 개인연금 가입 현황’ 자료에 따르면 개인연금 가입자는 800만명(15.7%)이며 이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자는 가입률이 5.7%에 불했다.
개발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는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을 합한 노후연금이 과거 소득의 70∼80%를 대체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한국은 이에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OECD 국가들의 평균 공적연금 소득대체율은 지난해 기준으로 54.4%였다.
그러나 한국의 공적연금 소득대체율은 40년 가입기준으로 39.6%이고 국민연금 평균 가입기간이 27년인 점에 비춰 실질적인 소득 대체율은 25.8∼30.7%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사적연금 가입자의 소득대체율은 약 21.2%(퇴직연금 13%, 개인연금 8.2%)로 역시 OECD 등 국제기구 권고비율(40%)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개발원은 “고령자 가운데 사적연금 미가입자가 많아 연금을 이용한 노후준비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개인연금 가입률을 연령대별로 보면 40대(28.0%)가 가장 높고 30대(25.3%), 50대(22.9%), 60대(9.7%), 10대이하 (6.3%), 70대이상(1.5%) 등 순이다.
10대 이하는 부모들이 자녀의 장래를 위해 미리 개인연금에 가입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됐다.
시도별 가입률은 서울(20.3%), 울산(20.2%), 광주(17.5%) 등 순이다.
은퇴준비가 가장 활발한 40∼50대의 지역별 가입률 격차는 15.6%포인트(울산 34.7%, 강원 19.1%)에 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