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리콜 전담기구 설치율, 47% 불과”

“국내기업 리콜 전담기구 설치율, 47% 불과”

입력 2014-02-06 12:00
업데이트 2014-02-06 1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소비자원, 국내기업의 리콜 운영현황 등 설문조사

국내 기업 중 리콜 전담기구를 설치한 곳은 절반도 채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국내 101개 기업의 리콜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운영현황 등을 설문한 결과 리콜 전담기구를 설치한 기업은 전체의 절반이 안 되는 46.9%로 조사됐다고 6일 밝혔다.

규모별로 중견기업(45.2%)과 중소기업(34.5%)의 리콜 전담기구의 설치비율은 대기업(63.6%)보다 낮았다.

업종별 설치비율은 자동차(100%)가 가장 높았고 식품(58.8%), 공산품(40.0%), 전자기기(35.7%), 의약·화장품(34.8%) 등의 순이다.

리콜 의사결정권은 대부분 최고경영자(77.7%)에게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사업부서 임원(11.7%)이나 고객부서 부서장(3.2%)등 실무 담당자의 결정권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콜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자진리콜의 경우 64.5%, 강제리콜은 7.3%만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자진리콜은 사업자가 스스로 결함제품을 거둬가거나 파기하는 것을 말하며 강제리콜은 중앙행정기관의 명령에 따라 제품을 수거하거나 파기하는 것을 일컫는다.

리콜 진행 시 적극성을 띠지 못한 이유(복수응답)로는 ‘소비자와 언론의 부정적 인식’(82.5%)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소비자 불신에 따른 매출 감소(62.9%)와 소비자의 과도한 보상 요구(58.8%)가 뒤를 이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중소기업이 리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업 ·소비자가 리콜에 긍정 인식을 갖도록 정보제공과 교육을 확대해 리콜을 활성화할 것을 관련 부처에 건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