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산업기술인력 비중↓…단순생산기지 전락우려

지방 산업기술인력 비중↓…단순생산기지 전락우려

입력 2014-04-15 00:00
업데이트 2014-04-15 07: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급 산업기술인력의 수도권 편중 현상이 더욱 뚜렷해졌다. 대신 지방에서는 기능직 인력이 많이 늘어나 비수도권 지역이 단순 생산기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산업연구원이 15일 내놓은 ‘지역의 산업기술인력 실태와 정책적 대응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고급 산업기술인력의 수도권 비중은 2008년 63.6%에서 2012년 66.4%로 커졌지만 비수도권 비중은 36.4%에서 33.6%로 작아졌다.

고급 산업기술인력은 사업체의 과학·정보통신·공학 전문가, 건설·전기·생산 관리자 등을 가리키며 2012년 기준 134만8천268명이다.

이같은 인력은 2008년부터 5년간 13만69명 늘었다. 이중 서울(3만2천735명), 경기(6만8천798명), 인천(1만8천631명) 등 수도권 증가분이 92.4%(12만164명)를 차지했다.

비수도권에서는 9천905명이 순증가하는데 그쳤다. 전북(4천554명), 경남(4천273명), 부산(3천780명) 등에서는 늘었지만 광주(-7천758명), 충북(-4천566명), 전남(-1천284명), 제주(-503명) 등 4개 시·도에서는 줄었다.

기능직 인력은 2008∼2012년 10만2천890명이 증가했다. 이중 비수도권에서 늘어난 인력이 51.9%(5만3천403명)를 차지해 수도권보다 많았다.

이 같은 산업기술인력의 수도권 쏠림현상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수원, 파주, 서울 상암·마곡, 경기도 동탄, 인천 송도 등 수도권에 대규모 연구·개발(R&D) 센터가 들어서고 비수도권 지역에 대한 R&D 투자가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예컨대 2012년 전체 R&D 투자(55조4천500억원)의 76.8%를 차지한 민간기업의 비수도권 투자 비중은 25.6%로 1997년 31.4%보다 낮았다.

비수도권 대학의 산·학 협력 역량이 미흡한 것도 우수 기술인력의 공급 부진과 역외 유출을 불러오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김영수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비수도권 지역은 2012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지역내총생산(GRDP)의 51%를 차지하고 제조업 총부가가치의 62.6%를 생산하고 있음에도 단순 제조지역으로 전락할 수 있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김 연구위원은 지역특화 전문기술개발기관 육성, 이들 기관과 지역기업의 공동 기술개발을 통한 산업기술 혁신, 역량있는 지방 사립대 중심의 산·학 협력 집중 지원과 지역내 인력수급의 선순환 체계 구축 등을 주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