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경제 격차 확대…北1인당 소득 南의 21분의 1

남북 경제 격차 확대…北1인당 소득 南의 21분의 1

입력 2014-06-27 00:00
업데이트 2014-06-27 15: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 경제 3년 연속 ‘플러스’…작년 성장률 1.1%

북한 경제가 3년 연속 플러스 성장을 했다.

그러나 지난해 북한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137만9천원(한국 원화 기준)으로 남한의 21분의 1에 그쳐 남북 간 경제 격차는 더 벌어졌다.

한국은행은 27일 관계기관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2013년 북한 경제 성장률 추정 결과’에서 이렇게 분석했다.


◇남북 간 소득 격차 확대…대외 교역 격차는 줄어

지난해 북한의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33조8천억원인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1천441조1천억원)과 비교하면 42.6분의 1이다. 전년(41.6분의 1)보다 차이가 커졌다.

이를 인구로 나눈 북한의 1인당 GNI는 137만9천원이었다. 역시 한국(2천869만5천원)에 견주면 20.8분의 1 수준으로, 2012년(20.3분의 1)보다 격차가 더 벌어졌다.

대외 교역 규모의 격차는 축소됐다. 지난해 한국의 대외교역 규모는 0.7% 증가에 그쳤지만 북한의 대외 교역규모(남북간 교역을 뺀 상품 수출입 기준)는 73억4천만달러로 7.8% 늘었다.

북한의 수출(32억2천만달러)은 광물(14.4%), 섬유류(31.2%) 등을 중심으로 11.7% 늘었다. 수입(41억3천만달러)도 플라스틱제품(27.5%), 섬유류(20.4%)를 위주로 5.0% 증가했다.

이로써 2012년 한국의 156.7분의 1이던 북한의 대외교역 규모는 지난해 한국의 146.5분의 1로 격차를 줄였다.

지난해 남북한 간 교역 규모는 11억4천만달러로 전년보다 42.4%나 감소했다. 작년 4∼9월 개성공단의 가동 중단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남북한 교역에서 개성공단을 통한 반출입은 전체의 99.7%를 차지했다.

북한으로의 반출은 전기전자제품(-46.6%), 섬유류(-41.1%)를 중심으로 전년보다 42.0% 줄었고 남한으로의 반입은 섬유류(-45.2%), 전기전자제품(-42.7%) 등 평균 42.7% 감소했다.

◇작년 북한 경제 1.1% 성장…농작물·광물이 주도

지난해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기준 성장률은 1.1%로 추정됐다.

2011년 0.8%, 2012년 1.3%에 이은 3년 연속 성장세다. 북한은 2009년(-0.9%)과 2010년(-0.5%)에는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였다.

임태옥 한은 국민소득총괄팀 과장은 “지난해 북한의 성장세는 작황 호조로 농산물 생산이 늘고 석탄, 철광석 등 광물 자원 생산이 확대된 데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 보면 명목 GDP의 22.4%를 차지한 농림어업 생산이 1.9% 증가했다. 축산업 생산은 줄었지만 양호한 기상여건으로 농산물 생산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광업(GDP의 13.6%) 생산도 석탄과 철광석 증산에 힘입어 2.1% 증가했다.

제조업(GDP의 22.1%) 생산은 1.1% 늘었다. 경공업은 식료품과 섬유·의복 및 신발을 위주로 1.4% 늘었고 중화학공업은 석유 및 석탄, 금속제품을 중심으로 1.0%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업(GDP의 4.1%)도 수력 및 화력 발전의 확대로 2.3% 증가했다.

서비스업(GDP의 30.0%)은 0.3% 늘었다. 정부서비스(0.3%), 운수 및 통신(0.7%) 등은 늘었지만 도소매·음식숙박(0.0%)은 제자리걸음을 했다.

건설업(GDP의 7.8%)은 도로포장을 비롯한 토목건설이 줄면서 1.0% 감소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