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 예금’ 현실화…초저금리 시대 왔다

‘1%대 예금’ 현실화…초저금리 시대 왔다

입력 2014-08-17 00:00
업데이트 2014-08-17 1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가 금리인하 땐 2%대 예금 ‘전멸’…”일본 꼴 날라” 우려

한국도 일본과 같은 초저금리 시대에 들어섰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은행들이 속속 예ㆍ적금 금리를 내리면서 이제 ‘연 1%대 금리’는 우려가 아닌 현실로 다가왔다. 고령화로 은퇴자 등 이자 생활자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7일 금융권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가 일어난 2008년 연 5.87%에 달하던 시중은행의 1년짜리 정기예금 금리는 2010년 3.86%, 지난해 2.89%를 거쳐 올해 6월에는 2.68%로 가파른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더구나 최근 두달 새 시중은행들이 예금 금리를 잇따라 내리면서 고객들의 체감 금리는 연 2.2~2.3%에 불과한 실정이다.

실제 개인고객 수가 2천900만명으로 국내 최대인 국민은행의 주력 예금상품은 ‘국민수퍼정기예금’으로, 1년 만기 상품의 금리가 연 2.29%에 불과하다.

하나은행의 대표상품인 ‘고단위플러스 정기예금’과 ‘빅팟 정기예금’의 금리는 각각 연 2.2%이며, 우리은행의 ‘우리유후정기예금’은 3천만원 미만 가입시 연 2.3%의 금리를 준다.

미국에서 1년 동안 살다가 돌아온 주부 김모(40)씨는 “1년 전 연 2.9%짜리 정기예금을 농협은행에서 가입하고 미국에 갔는데, 이번에 만기가 돼 재가입하려고 보니 금리가 연 2.3%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그런데 지난 14일 한은이 기준금리를 기존 연 2.50%에서 연 2.25%로 0.25%포인트 인하하면서 연 2% 초반대 예금상품마저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다음 주에 관련 부서 회의를 열어 예금 상품의 기본금리를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폭인 0.25%포인트 안팎으로 인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우리은행도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전반적인 시장 금리의 하락이 예상돼 수신 상품의 금리를 내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시장금리의 향방을 지켜봐야 하겠지만, 연 2.2%짜리 정기예금의 금리가 0.25%포인트 인하된다면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연 2.0% 선을 뚫고 내려가게 된다.

더구나 일부 전문가들이 예상하는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가 현실화한다면 연 2%대 예금 상품은 ‘전멸’할 것이라는 게 은행들의 예상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추가 기준금리 인하가 단행된다면 은행들로서는 연 2% 예금 상품을 유지할 수 없다”며 “시장금리의 지속적인 하향 추세를 볼 때 연 1%대 예금 시대가 현실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기준금리 인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모든 지표를 고려해 적절히 대응하겠다”고 말해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을 열어뒀다.

한국보다 앞서 시중금리의 지속적인 하락을 경험한 일본은 이미 초저금리 시대로 접어든 지 오래다.

지난해 일본의 한 은행은 우량고객에 대한 특판 마케팅을 펼치면서 1~3년 예금금리는 연 0.3%, 5년 금리는 연 0.35%를 제시했다. 일반 정기예금의 금리는 0%나 마찬가지라는 얘기다.

문제는 한국이 일본이 간 길을 따라 초저금리 시대로 향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전효찬 수석연구원은 “우리나라가 이미 초저금리 시대의 길로 접어들었다고 보는 것이 맞다”며 “세계적인 초저금리 추세를 우리만 벗어날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자소득의 감소는 노년층에게 더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노후소득에서 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60∼80%대에 달하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과 달리 한국은 그 비중이 13%에 불과하다. 더구나 노인복지 체계가 훨씬 미비해 이자소득 감소는 노년층의 소비 감소와 생활수준 저하로 직결될 수 있다.

전체 가계가 받는 타격도 크다. 2012년 가계 이자소득은 49조원으로, 이자소득이 총 가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에 육박했다. 이자소득 감소가 가계소득 감소와 소비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금융연구원 박종규 선임연구위원은 “가계의 소득기반 확충을 위해 임금, 배당 등 기업이 가계로 이전하는 소득을 늘리고, 저축률 제고, 연금기반 확충 등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