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실직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자격 2년 유지하려면

실직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자격 2년 유지하려면

입력 2014-09-01 00:00
업데이트 2014-09-01 07: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퇴직전 직장서 ‘1년 이상’ 근무해야

퇴직 전 직장에서 ‘1년 이상’ 다닌 경우에만 퇴직 후에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자격을 2년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이른바 ‘임의계속가입자’ 제도의 혜택을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제도는 갑작스러운 실직이나 은퇴로 직장에서 물러나 소득이 없는데도,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자격이 바뀌면서 건강보험료가 급증한 실직·은퇴자에 대한 일종의 특례로 2013년 5월 시행됐다.

직장을 그만둔 사람이 퇴직 후에도 2년간은 직장 다닐 때 내던 보험료를 그대로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려는 취지다.

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1년 이상 다니던 직장에서 ‘강제퇴직’을 당해 갑자기 실업자가 됐을 때 건강보험공단의 안내에 따라 임의계속가입자로 신청하면 2년 동안은 직장가입자 자격으로 직장보험료를 낼 수 있다.

하지만 임의계속가입자 자격 기간에 다시 일자리를 구하거나 생계유지를 위해 구청 등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공공근로사업에 참여하게 되면 월급(급여)을 받는 (공공)근로자로 신분이 변경되면서 건강보험 가입자 자격도 임의계속가입자에서 직장가입자로 다시 바뀐다.

물론 공공근로 기간에는 공공근로 월급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부과된다. 이를테면 공공근로로 월 66만원을 받았다면, 2014년 현재 건강보험료율(보수월액의 5.99%)을 적용해 월 2만1천원 정도의 보험료를 내면 된다.

문제가 공공근로의 특성상 근로 기간이 대부분 짧다는 것. 만약 2개월 만에 공공근로마저 그만두게 되면, 직장가입자에서 다시 지역가입자로 자격이 바뀌고, 여기에다 아파트와 자동차 등 재산이 있으면 ‘지역보험료 폭탄’을 맞을 수 있다.

다시 임의계속가입자 신청을 하더라도 퇴짜 당한다. ‘퇴직 전 직장에서 1년 이상 다녀야 임의계속가입자 적용을 받을 수 있다’는 조건에 걸리기에 임의계속가입자 혜택도 볼 수 없다. 공공 근로 기간이 2개월에 불과해 1년 이상이란 조건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건강보험공단에는 이와 비슷한 사례로 “직장에서 쫓겨나고 막노동 거리도 없는데 집 한 채 있다고 거액의 보험료를 내란 말이냐”며 불만을 제기하는 민원이 많이 들어오고 있다.

김종대 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은 “실직하면 보험료가 오르는 현 건강보험제도의 모순에 대한 완충장치로 도입한 임의계속가입자제도가 역설적으로 부담능력과 무관하게 부과되는 현 보험료 부과체계의 불형평성 문제를 증명한다”면서 “하루빨리 소득 중심으로 부과체계를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