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男 흡연율 45%, OECD중 두번째 높아…이혼남은 64%

성인男 흡연율 45%, OECD중 두번째 높아…이혼남은 64%

입력 2014-12-18 12:28
업데이트 2014-12-18 15: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명中 6명은 고향 떠나 ‘타향살이’

지난 1999년 70%에 달했던 성인 남성 흡연율이 지난해에는 40%대로 떨어졌다.

고향을 떠나 다른 곳에서 ‘타향살이’를 하는 사람이 10명 중 6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결혼이나 출산, 육아 등 가정 일과 관계없이 일자리를 계속 가져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 성인 남성 10명중 4명은 여전히 담배 피워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4’에 따르면 성인 남성 흡연율은 1999년 67.8%에서 2012년 44.9%로 줄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성인 남성 흡연율이 42.1%로 집계됐다고 밝힌 바 있다.

15년 전에는 성인 남성 10명 중 7명이 담배를 피웠으나, 이제는 흡연자가 10명 중 4명 꼴로 줄어든 셈이다.

통계청은 같은 기간 여성 흡연율도 4.6%에서 4.0%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성인 남성 기준으로 보면 현재 한국 흡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정부는 흡연율 감소와 국민건강 증진을 이유로 내년 1월부터 담뱃값을 2천원 인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흡연율은 남성과 여성 모두 이혼한 집단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한 남성의 흡연율은 64.1%, 이혼한 여성의 흡연율은 12.2%였다.

2010년 기준으로 출생 시군구를 떠나 다른 곳에서 거주하는 타향살이 비율은 59.4%였다.

1970년 21.0% 수준이던 타향살이 비율은 40년 동안 약 2.8배가량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전체 인구 중 다른 시군구 출신 인구 비율이 높은 곳은 경기(74.9%), 서울(65.1%)이었다. 제주(27.1%), 전남(35.7%)에서는 타향살이 비율이 낮아 ‘토박이’가 많이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을 빠져 나가는 사람은 늘고 있다. 지난해 서울 인구는 약 10만명 순감소했고, 수도권 인구도 약 4천명 줄었다.

1970년대에는 매년 약 36만명이 수도권으로 순이동했으나 2000년 이후에는 약 순이동 규모가 10만명 수준으로 줄었다.

다문화 가정 학생은 2009년 2만6천명에서 지난해 5만6천명으로 두 배 넘게 늘었다. 전체 학생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이 차지하는 비율도 2009년 0.35%에서 지난해 0.86%로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다문화 가정 자녀 취학률은 초등학교 93.0%, 중학교 75.6%, 고등학교 76.7%로, 전체 초·중·고 취학률인 97.2%, 96.2%, 93.6%보다 많게는 20%포인트까지 낮았다.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가 공부 자체를 재미있어 하거나 호기심이 생겨 학습하는 ‘내재적 학습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 진료비에서 의약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6.1%로 높은 편이었다.

1인당 건강보험 약품비는 20대 이후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져 70대는 약 95만원, 80대는 약 97만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처방률은 2004년 35.2%에서 2013년 24.5%로 10%포인트 이상 낮아졌으나 여전히 세계보건기구(WHO)의 권장수준인 23.0%를 웃돌고 있다.

◇ “여성 결혼·출산 등 관계없이 계속 일해야” 인식 늘어

결혼·출산·육아 등과 상관없이 여성이 계속 일자리를 가져야 한다는 인식이 늘고 있다.

’여성이 가정 일과 관계없이 계속 취업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1998년 29.0%에서 지난해 50.7%로 21.7%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여성은 결혼 전까지만 취업해야 한다’는 응답은 13.4%에서 4.3%로, ‘자녀 성장 후 취업해야 한다’는 응답은 17.8%에서 13.9%로 각각 감소했다.

여성 취업 장애요인이 ‘육아부담’이라는 응답은 1998년 30.8%에서 지난해 48.5%로 늘어났고, ‘여성의 직업의식, 책임감, 능력 부족’이라는 응답은 14.3%에서 6.3%로 줄었다.

’가정보다 일이 우선’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남성이 64.3%로 여성(41.7%)보다 22.6%포인트 높았다.

여성의 경우 20대에는 가정보다 일을 우선시하는 비율이 63.3%로 남성(64.8%)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30대부터는 40% 이하로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또 고학력 여성일수록 일을 우선시하는 비율이 높았다. 중졸 이하 여성은 34.1%가, 고졸 여성은 38.3%가, 대졸 이상 여성은 48.5%가 가정보다 일이 우선이라고 응답했다.

가사 일 중 식사준비와 세탁은 80% 이상 아내가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집안 수리는 70% 정도가 남편이 주로 하고 있었다.

부부가 공평하게 가사에 참여하는 비율은 한국이 일본보다는 높지만, 북유럽이나 서유럽 국가들에 비해서는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여성 배우자의 가구소득 기여도는 2006년 13.4%에서 2013년 15.2%로 1.8%포인트 늘었다. 특히 고소득계층인 5분위에서 2006년 16.2%에서 2013년 18.9%로 상대적으로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같은 기간 여성 근로자는 관리·전문직과 사무직에서 늘어난 반면 서비스·판매직과 기능직에서는 감소했다.

지난해 가구당 가계부채는 5천818만원으로 2010년 대비 약 1천200만원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부채는 1.52에서 1.60으로 상승했다.

부채보유 가구 비율도 2010년 59.8%에서 지난해 66.9%로 상승했다.

가계부채는 주로 임대보증금, 주택구입, 사업자금 마련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