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톱 무좀 환자 81% “발수건·발매트 가족과 공동사용”

손발톱 무좀 환자 81% “발수건·발매트 가족과 공동사용”

입력 2015-07-27 15:45
업데이트 2015-07-27 15: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손발톱 무좀을 진단받은 환자 대다수가 감염을 걱정하면서도 실제 감염 방지 노력에는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메나리니는 30∼40대 성인 1천48명에게 설문 조사를 벌인 결과 손발톱 무좀 환자 189명 가운데 발매트·발수건 등을 가족과 함께 쓰는 경우가 80.9%(153명)에 달했다고 27일 밝혔다.

슬리퍼를 가족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67.7%(128명)에 이르렀다.

환자 대부분(86.8%·164명)이 가족이나 다른 부위에 무좀균을 옮길까 봐 걱정했지만, 이런 걱정을 행동으로 옮기지는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피부과 전문의 정진영 원장은 “무좀균은 전염성이 커 발수건이나 발매트, 슬리퍼 등을 같이 사용하다가는 전염을 일으킬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어 “손발톱 무좀을 계속 방치하면 모양이 변형하거나 두꺼워진 손발톱이 주변 살을 파고들어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며 “증상에 따른 정확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41.9%(439명)는 손발톱 무좀을 진단(18%, 189명)받거나 의심 증상을 경험(23.9%, 250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발톱 무좀은 곰팡이균 등 무좀균에 의해 손발톱에 직접적으로 감염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손발톱이 하얗거나 노랗게 변색돼 두꺼워지거나 뒤틀리면 이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국내에서는 연간 12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할 정도로 흔한 질병이지만 초기에 통증이나 가려움증 같은 증상이 미미해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국메나리니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