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수출입은행(수은)의 행로가 가시밭길입니다. 성동조선 경영 정상화 과정이 쉽지만은 않아서죠. 엊그제 삼성중공업과 줄다리기 협상 끝에 내놓은 ‘성동조선 경영협력 협약’을 놓고 뒷말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수은이 성동조선의 인사·재무를, 삼성중공업이 영업과 구매·기술을 각각 지원하는 형태의 공동 경영이라는 것이 수은 측 설명입니다. 그런데 금융권에서는 이런 형태의 협약 전례를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실효성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요. 말이 공동 경영이지 삼성중공업이 “(성동조선에) 발만 담근 것”이라는 신랄한 냉소가 나옵니다. 최장 7년간의 경영협력 기간 동안 성동조선이 수주하는 물량의 손실 책임과 재무적 부담은 모두 채권단 몫입니다. 위탁경영은 일반적으로 인수·합병(M&A)을 전제로 합니다. 성동조선의 경영 정상화가 쉽지 않아 보이니 삼성중공업도 사실상 한 발 뺀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5년 전까지만 해도 삼성중공업은 성동조선 인수를 적극 고려했습니다. 해양 플랜트에 치중돼 있는 삼성중공업과 달리 성동조선은 중형 선박에 강점이 있어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사이 사정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삼성중공업은 해양 플랜트 부문의 눈덩이 손실로 대규모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난 6월부터 석 달 가까이 마라톤 협상을 벌이며 수은이 끈질기게 설득했음에도 끝까지 위탁경영을 거절한 이유입니다.
위탁경영을 자신하던 수은은 곤욕스런 표정이 역력합니다. 수은은 이달 말까지 성동조선에 2000억~3700억원을 홀로 지원할 처지에 놓였습니다. 위탁경영이 불발되자 우리은행, 무역보험공사 등 다른 채권단이 추가 지원에 등을 돌렸기 때문입니다.
기간산업으로서의 성동조선 가치에 대한 논쟁은 일단 제쳐 두겠습니다. 다만 성동조선에 2조원(대출+이행보증) 넘게 물린 수은이 ‘부실의 늪’에 같이 빠져드는 것은 아닌지 당사자인 수은도, 금융당국도, 정치권도 냉철하게 돌아볼 때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실효성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요. 말이 공동 경영이지 삼성중공업이 “(성동조선에) 발만 담근 것”이라는 신랄한 냉소가 나옵니다. 최장 7년간의 경영협력 기간 동안 성동조선이 수주하는 물량의 손실 책임과 재무적 부담은 모두 채권단 몫입니다. 위탁경영은 일반적으로 인수·합병(M&A)을 전제로 합니다. 성동조선의 경영 정상화가 쉽지 않아 보이니 삼성중공업도 사실상 한 발 뺀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5년 전까지만 해도 삼성중공업은 성동조선 인수를 적극 고려했습니다. 해양 플랜트에 치중돼 있는 삼성중공업과 달리 성동조선은 중형 선박에 강점이 있어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사이 사정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삼성중공업은 해양 플랜트 부문의 눈덩이 손실로 대규모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난 6월부터 석 달 가까이 마라톤 협상을 벌이며 수은이 끈질기게 설득했음에도 끝까지 위탁경영을 거절한 이유입니다.
위탁경영을 자신하던 수은은 곤욕스런 표정이 역력합니다. 수은은 이달 말까지 성동조선에 2000억~3700억원을 홀로 지원할 처지에 놓였습니다. 위탁경영이 불발되자 우리은행, 무역보험공사 등 다른 채권단이 추가 지원에 등을 돌렸기 때문입니다.
기간산업으로서의 성동조선 가치에 대한 논쟁은 일단 제쳐 두겠습니다. 다만 성동조선에 2조원(대출+이행보증) 넘게 물린 수은이 ‘부실의 늪’에 같이 빠져드는 것은 아닌지 당사자인 수은도, 금융당국도, 정치권도 냉철하게 돌아볼 때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9-0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