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후 한국, 4차산업혁명시대 생산·소비는?

10년 후 한국, 4차산업혁명시대 생산·소비는?

입력 2017-04-17 13:17
업데이트 2017-04-17 1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래부·미래준비위 보고서 발간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위원장 이광형)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와 함께 ‘10년 후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산과 소비’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앞으로 생산과 소비가 결합해 생산자가 소비자의 요구를 실시간으로 받아들이고 기획·연구개발·제조에 이를 반영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지능정보기술이 생성하는 초고속·초연결 스마트 플랫폼을 통해 생산과 소비의 전 과정이 실시간으로 긴밀하게 연결됨에 따른 변화다.

개인 맞춤형 생산이 확대되고, 소비 트렌드가 급격히 변화하며, 환경친화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등 생산과 소비에서 ‘다양화’가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제조와 서비스의 결합, 생산-소비 전 과정의 지능화, 글로벌 차원의 융합과 리쇼어링(국외에 진출했던 국내 제조 기업이 다시 국내로 돌아오는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점쳐진다.

위원회는 “미래의 생산·소비를 풍요롭게 하기 위해 사회는 경쟁이 아닌 신뢰와 상호협력의 문화를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해 환경 윤리를 확립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보고서는 미래부(http://www.msip.go.kr), KISTEP(http://www.kistep.re.kr), KAIST 미래전략대학원(http://futures.kaist.ac.kr)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미래부는 이 보고서에 제시된 전략방향을 차기 과학기술기본계획 등에 반영해 정책으로 연계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