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대책 이후 ‘관망세’…서울 아파트값 주춤

가계부채 대책 이후 ‘관망세’…서울 아파트값 주춤

입력 2017-10-27 13:33
업데이트 2017-10-27 13: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 발표 직후 시장에서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주춤한 모습이다.

이미 예고됐던 대책이 발표된 데다 금리 인상 가능성 등 당장 부동산 시장을 예측할 수 없어서 ‘지켜보자’는 분위기가 우세한 상황이다.

2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9% 올라 지난주(0.20%)보다 상승폭이 다소 줄어들었다.

가계부채 대책 발표와 함께 한국은행의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 등으로 매수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섰기 때문으로 보인다.

구별로는 송파가 0.41%로 가장 많이 올랐고 강북(0.37%), 강동(0.27%), 강서(0.27%), 강남(0.24%), 마포(0.19%) 등 순으로 상승했다

송파구는 투자와 실거주를 동시에 생각하는 수요자들이 일대 대단지 아파트 거래에 나서면서 매매가격이 꾸준히 오름세를 보였다.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신천동 잠실파크리오, 잠실동 잠실엘스 등이 500만~4천만원 가량 올랐다.

강북은 번동 주공1단지가 250만~1천500만원 가량 올랐다. 주변 장위뉴타운과 비교해 낮은 시세와 동북선개발 등 기대감으로 매수세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일반 아파트와는 달리, 서울의 재건축 아파트값은 0.26% 상승해 전주(0.23%) 대비 오름폭이 0.03%포인트 커졌다.

가계대책 발표 직후인 데다 매도자와 매수자 간 눈치보기 속 호가 상승, 저가매물 거래로 잠실, 둔촌, 개포 주공 등 주요 재건축 단지 매매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잠실 주공5단지의 50층 재건축 영향을 받는 송파구의 재건축 단지가 0.32%로 가장 많이 올랐고 강남구는 0.28%, 강동구 0.29%, 서초구 021% 상승했다.

신도시 아파트 값은 이번주 0.03% 올라 지난주(0.05%)보다 오름폭이 줄었고, 경기·인천도 0.02% 상승해 전주(0.08%)보다 상승세가 둔화됐다.

이들 지역은 실수요의 간헐적인 거래 외에는 한산한 분위기를 보이며 전주 대비 오름폭이 감소했다.

가을 이사철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가운데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6% 상승해 전주(0.09%)보다 오름폭이 줄며 안정세를 보였다. 신도시는 0.01%, 경기ㆍ인천은 0.02% 하락했다.

전세매물과 수요 모두 많지 않아 전체적으로 조용한 모습으로, 동탄, 이천, 양주 등 새 아파트 입주가 진행되는 지역은 전세매물 소진이 더뎌지며 전셋값이 하락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