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악화·터키發 신흥국 불안 등 발목
美 새달 인상 확실…한·미 금리차 더 커져채권 전문가 “8월보다 10월 이후 가능성”
고용 쇼크가 계속되면서 기준금리 인상 여부와 시기를 둘러싼 한국은행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한은은 그동안 몇 차례 금리 인상 신호를 보냈지만, 고용 지표 악화 및 터키발 신흥국 불안 확산 등이 발목을 잡는 모양새다. 다음달 미국의 금리 인상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오는 30일로 예정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인상 동력이 약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이일형 금통위원이 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소수 의견을 냈을 당시만 해도 이르면 8월 금리 인상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왔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래 최악의 고용 쇼크가 부담 요인으로 급부상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취업자 증가 폭은 올 들어 6개월 연속 10만명 이하에 머물다 지난달에는 급기야 5000명 수준으로 떨어졌다. 고용 악화는 소비 부진 등으로 이어져 경기 전망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고용지표가 발표된 지난 17일 채권시장에서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날보다 0.05% 포인트 하락한 1.997%를 기록, 10개월 만에 1%대로 내려갔다. 8월 금리 동결을 전망하는 움직임이 시장에 반영된 것이다. 여기에 터키 리라화 폭락 사태로 세계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점 역시 금리 인상의 걸림돌이다. 기준금리 인상 시 가계부채 상환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하지만 기준금리 인상의 필요성을 높이는 요인도 산적해 있다. 무엇보다 미국이 연내 두 차례 추가 금리 인상을 계획하고 있다. 한은이 오는 30일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미국이 9월 인상하면 금리 차이는 0.75% 포인트로 커진다. 한·미 간 금리 격차가 커지면 외국인 자본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아진다.
채권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 시점이 한 차례 늦춰질 것이라고 전망하는 분위기다. 신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소수 의견이 나온 만큼 연내 인상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국내외 상황에 부정적인 변화가 더해지면서 8월보다 10월 이후 금리 인상에 힘이 실린다”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8-08-2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