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 목돈 마련해야하는데”…적금금리, 예금에 역전 조짐

“서민들 목돈 마련해야하는데”…적금금리, 예금에 역전 조짐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9-02 10:44
업데이트 2018-09-02 1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은행 정기적금 금리가 예금 금리보다 낮아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서민들의 대표적인 목돈 마련 상품인 적금의 매력이 점차 떨어지는 모양새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신규취급액 기준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가중평균 금리는 연 1.79%, 정기적금의 가중평균 금리는 1.82%였다.

적금 금리가 예금보다 불과 0.03%포인트밖에 높지 않은 것이다.

최근 둘 간의 격차가 줄어드는 모습이다.

지난해 11월 예금 금리가 1.74%로 적금 금리(1.67%)를 0.07%포인트 앞지르며 5년 10개월 만에 예·적금 금리 역전 현상이 빚어진 것이 시작이었다.

그해 12월에도 예금 금리(1.78%)가 적금(1.76%)보다 0.02%포인트 높았다.

올해 1∼5월에는 적금 금리가 예금 금리보다 높았지만 격차는 4월 0.08%포인트, 5월 0.02%포인트로 점차 줄었다.

급기야 6월에는 적금 금리가 1.81%, 예금 금리 1.83%로 재차 역전이 빚어졌다.

매달 꼬박꼬박 돈을 불입해야 하는 정기적금은 한꺼번에 목돈을 묶어두는 정기예금보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높다.

월별로 보면 2012년 1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예금 금리가 적금 금리보다 높은 적은 단 한 번뿐이다.

다만 시계열을 좀 더 확장해보면 1990년대 말만 해도 예금 금리가 10% 중후반, 적금 금리가 10%대 초반대로 역전 상태인 적이 있었다.

2005∼2008년에도 적금이 예금 금리보다 낮은 적이 많았다.

경기가 좋아져 투자가 늘어나고 대출 수요가 증가할 조짐을 보이면 은행들은 목돈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예금 금리를 높이면서 예·적금 역전 현상이 빚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 예·적금 금리 역전 현상은 과거 역전 때와는 달리 정책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7월 2020년부터 예대율(예금 대비 대출금) 산정방식을 변경, 가계대출에 불이익을 주기로 했다.

은행들은 예대율을 100% 밑으로 유지해야 하는데, 규제가 바뀌며 가계대출 잔액이 그대로더라도 예대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예금을 늘릴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애초 개정안은 이르면 연내에 시행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기도 했다. 이 때문에 올 상반기에도 시중은행들은 최대 연 3∼4%대 고금리 예금 특판 영업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규제 때문에 은행들이 장기예금을 전략적으로 유치하려고 한다”며 “이를 위해 장기예금에 우대금리를 적용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