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인구 자연증가 3200명으로 역대 최저…다가오는 인구절벽 현실화

7월 인구 자연증가 3200명으로 역대 최저…다가오는 인구절벽 현실화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8-09-28 11:56
업데이트 2018-09-28 14: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서울신문DB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서울신문DB
인구절벽이 현실화할 날이 점차 다가오고 있다. 올해 7월 출생아수가 28개월 연속 최저치를 기록하고 7월 사망자수도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7월 기준 인구 자연증가 폭도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인구 자연 증가 감소 추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18년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7월 기준으로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 증가는 3200명으로 198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출생아 수는 큰 폭으로 감소했지만, 사망자 수는 2만 3800명으로 전년 동월(2만 2200명) 대비 7.2% 증가했다.

사망자 수가 늘어나는 이유는 인구 고령화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통계청이 지난 27일 발표한 ‘2018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인구는 738만 1000명으로 전체 인구 가운데 14.3%를 차지하고 있다. 고령 인구 비율이 14%를 넘어서면서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유엔(UN)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 이상은 고령화 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 고령화 비율이 계속 늘어나면서 사망 인구가 함께 늘어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면서 “출생아수가 최저치이고 사망자수가 최고치를 기록하는 것은 최근 지속되고 있는 트렌드”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생산가능인구가 급격히 줄어드는 ‘인구 절벽’ 시대가 현실화되는 시기가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통계청은 우리나라 인구가 2032년에 정점을 기록한 뒤 2033년부터 본격적으로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인구 자연증가가 감소하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인구 감소시기가 더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 자연증가가 역대 최저치를 경신하는 추세가 지속되면서 인구감소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의 수인 합계출산율이 감소한 것도 인구 절벽을 가속화하는 원인이다. 합계출산율은 올해 2분기(4~6월) 기준으로 0.97명으로 집계됐다. 현재의 인구 규모를 유지하려면 합계출산율을 2.1명으로 유지해야 한다. 그럼에도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역대 최저치인 1.05명을 기록했다. 이런 추세로 가면 올해는 1명 미만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출산율의 선행지표로 볼 수 있는 혼인건수도 감소 추세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연간 혼인건수가 전년 대비 6.1% 정도 감소하면서 출생률을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8월 국내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이동자 수는 59만 2000명으로 1년 전보다 5.7%(3만 6000명) 줄었다. 통계청은 8월 주택경기지표가 1년 전보다 31.7% 줄어드는 등 주택 매매가 감소했고, 입주 예정 아파트 물량도 줄어든 탓으로 분석했다. 8월 시도별 순이동률은 세종(10.5%), 경기(1.5%), 제주(1.4%) 등이 순유입되고, 울산(-1.2%), 서울(-1.1%), 전남(-1.0%) 등이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서울이나 인천에서 경기로 인구가 유입되고, 대전 등 충남권에서 세종으로 인구가 이동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