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연속 출산율 0.9명대… 인구절벽 더 빨라진다

2분기 연속 출산율 0.9명대… 인구절벽 더 빨라진다

장은석 기자
입력 2018-11-28 21:02
업데이트 2018-11-29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분기 0.95명… 출생아 수 역대 최저치

9월 출산 2만 6100명… 1년새 13% 줄어
올 합계출산율도 1.0명 붕괴 가능성 커
이미지 확대
올 3분기 합계출산율이 0.95명으로 추락, 올해 연간 합계출산율이 1.0명이 안 될 전망이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다. 합계출산율 1.0명 미만은 여성이 가임기간 동안 자녀를 1명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다. 2016년부터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줄어든 상황에서 인구절벽이 더 가팔라지게 됐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 3분기 출생아 수는 8만 400명으로 1년 전보다 9200명(10.3%) 줄었다. 관련 통계를 만들기 시작한 1981년 이후 가장 적다. 9월 출생아 수도 2만 6100명으로 1년 전보다 4000명(13.3%) 감소했다. 지난해 12월(2만 5147명)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적고 9월 기준으로는 가장 적다.

3분기 합계출산율은 0.95명으로 1년 전보다 0.10명 낮아졌다.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4분기 0.94명까지 떨어졌다가 올 1분기 1.07명으로 반등했지만 2분기에 0.97명으로 내려앉은 뒤 더 떨어졌다. 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 2.10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평균 1.68명과 큰 차이를 보이는 압도적 꼴찌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4분기에는 출산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어 올해 합계출산율은 1.0명이 안 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인구절벽이 더 가팔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충격적”이라고 밝혔다. 전체 인구에서 생산가능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급속도로 줄어드는 인구절벽이 발생하면 생산과 소비가 감소해 경제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생산가능인구 비율이 2016년 73.4%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부터 줄어들고 있다. 또 통계청은 총인구가 2032년 5295만 6398명을 정점으로 2033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는데 이 시기도 당겨질 가능성이 크다.

출생아 수가 급감하는 이유는 혼인 감소 때문이다. 올 3분기 혼인 건수는 5만 3800건으로 1년 새 3200건(5.6%) 줄어 1981년 통계 집계 이후 가장 적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8-11-29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