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견 입양·행동교정 한번에…반려동물지원센터 4곳 건립 추진

유기견 입양·행동교정 한번에…반려동물지원센터 4곳 건립 추진

김태이 기자
입력 2018-11-29 10:02
업데이트 2018-11-29 1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ㆍ호남에 공공동물장묘시설 조성…싱크탱크 동물복지연구원도 설립 검토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지난해 600만 가구에 육박한 가운데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를 한곳에 모은 복합시설이 정부 차원에서 추진된다.
‘반려견 산책은 주인 옆에 딱 붙어서’
‘반려견 산책은 주인 옆에 딱 붙어서’ 3일 오후 전북 전주시 전북대학교에서 열린 2018 반려동물 한마당에 참가한 반려견들이 올바른 산책방법 교육을 받고 있다. 2018.11.3/뉴스1
2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전국 거점별 4곳에 48억원을 들여 반려동물지원센터를 설치하기로 하고 현재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국회 심의를 받고 있다.

반려동물지원센터는 유기견 임시 보호 중심의 기존 동물보호센터를 넘어 교육, 놀이, 훈련 등 반려동물의 ‘A to Z’을 한 곳에 집약한 것이 특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동물 등록과 유기견 입양 등의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반려동물 보유 가구가 급증하는 등 사회적 변화에 대응해 관련 공공서비스를 확대하고 반려동물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반려동물지원센터는 특히 문제 행동을 보이는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교정 교육도 펼친다.

지금까지 적게는 시간당 수만 원에서 많게는 수십만원까지 들여 ‘개인 과외’를 받아야 했던 것과 비교하면 국비가 투입된 공공서비스의 특성상 반려동물 보유 가구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현재 사업 지침을 마련하고 있고, 이를 다듬어 다음 달께 지방자치단체에 내려보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내년에 21억원을 들여 경남 김해와 전북 임실에 공공동물장묘시설 2곳도 짓는다.

수백만 마리를 웃도는 국내 반려동물은 언젠가 세상을 떠나보내야 하지만, 관련 장묘시설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현재 반려동물 장묘업체는 전국 27곳에 불과하고, 이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수도권에 쏠려 있다.

반려동물 장묘업체는 2013년 7곳에서 2014년 14곳, 2015년 16곳, 2016년 17곳, 지난해 27곳으로 늘어났지만, 여전히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혐오시설’이라는 이유로 주민의 반대가 심한 경우도 있어 새로 문을 여는 데 갈수록 부담이 따르는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지자체가 공유지 등을 활용해 공공 장묘시설을 공급하면 그동안 ‘사각지대’나 다름없었던 부산·경남·울산과 전북권의 반려동물 가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

다만, 이 사업은 지난해 12월 국회 심의 과정에서 처음으로 예산이 편성된 후, 올해 9월에야 첫 예산이 배정되는 바람에 다소 지연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해당 지자체에서 시설을 완공한 후에는 민간에 위탁 운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농식품부는 이 외에도 3억원을 들여 전국 10곳에 반려동물 놀이터를 세운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이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의 갈등 완화가 콘셉트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금은 일선 공원에서 목줄이 의무화돼 있지만, 반려동물이 목줄 없이 자유롭게 뛰노는 공간을 마련하려는 것”이라며 “지자체 기존 공원이나 공유지·유휴지를 활용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국회 예결위 심의 단계에서는 국가 동물복지 정책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연구기관인 ‘동물복지연구원’ 설립을 위한 용역 수행비 3억500만원이 새로 편성돼 관심을 끈다.

이 연구원은 국내 동물복지 수준을 높이고자 관련된 연구를 하는 시설로, 예산은 연구원 설립을 위한 기초 계획을 세우는 데 쓰인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내년도 반려동물 관련 사업은 국회 심의 과정에서 예산 편성이 바뀔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