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이 6일 발표한 ‘최근 연령대별 인구의 변동과 산업별 고용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다른 연령대의 고용률은 오른 반면 20대 고용률만 하락했다. 20대 고용률은 지난해 1~10월 평균 57.8%로, 2008년(59.4%), 2009년(58.4%)보다 낮다.
고용률은 취업자수를 생산가능인구로 나눈 값으로, 생산가능인구가 늘면 고용률은 낮아질 수 있다. 지난해 20대 생산가능인구는 695만 2000명으로 저점을 찍은 2013년보다 26만 5000여명 늘었다. 이런 현상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 자녀인 에코 세대(1979~1992년생)의 청년층 진입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30대 고용률은 2008년 73.0%, 2009년 71.4%였다가 2017년 75.3%로 올랐다. 지난해 1~10월 평균 고용률도 75.7%다. 2017년 40대 고용률(79.4%)도 2008년(78.4%) 수준을 웃돈다. 특히 60대는 고령층 인구 증가와 건강상태 개선으로 더욱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다.
김주영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 시절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에 실패하면 장기 빈곤층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에코 세대가 노동시장에 본격 진입하는 향후 몇 년이 중대한 시점임을 감안해 적극적인 청년 고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9-01-0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