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차별 없도록… 장애인 지진 대피 매뉴얼 만들었죠”

“안전 차별 없도록… 장애인 지진 대피 매뉴얼 만들었죠”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9-04-02 22:32
업데이트 2019-04-03 01: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발달장애인 지진 매뉴얼 만든 심인집씨

젠가·스티커 등 활용 80쪽 눈높이 교육
30명 10주 교육… 재난 이해도 급상승
“취약계층에 다방면 매뉴얼 전파 기대”
이미지 확대
심인집씨
심인집씨
최근 포항 지진의 원인 논란으로 책임 공방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발달장애인들을 위한 지진 대피 매뉴얼과 프로그램이 주목받고 있다.

매뉴얼을 개발한 사람은 SK 대학생 자원봉사단 써니(SUNNY)의 리더그룹 14기인 심인집(27)씨. 지난달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학과를 졸업한 그는 2일 “장애인들은 지진이 발생했을 때 어디로, 어떻게 피해야 할지 체계화된 교육을 받은 적이 없어 대처가 더 늦을 수밖에 없다”면서 “매뉴얼과 교육만 받는다면 장애인들의 피해를 줄일 수 있겠다는 생각에 ‘안전 차별’ 없는 사회를 만들고자 매뉴얼을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80쪽 분량으로 만들어진 매뉴얼은 발달장애인이 직접 스티커를 붙여가며 지진 대피 요령을 익히고, 자신의 집을 그려가며 지진 대피 이동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했다.

예컨대 발달장애인들 앞에서 젠가를 이용해 블록집을 만든 뒤 책상을 흔들어 무너뜨리면서 지진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알게 해주는 식이다. 이후 종이에 집 도면을 그리고 스티커를 활용해 식탁, 가스 밸브, 전기 차단기, 책장, 현관문 등을 표시한 뒤 어떤 순서로 대피하면 좋을지 그리도록 유도하며 교육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심씨는 “지진이 어떤 것인지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 대피 실습, 나만의 안전 그림책 만들기 등 장애인의 시선에 맞춘 내용을 매뉴얼에 담으려고 했다”고 말했다.

SK행복나눔재단은 써니를 통해 장애 지원 프로그램 ‘세이프 투게더’를 기획했다. 심씨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발달장애인 전용 재난 대피 매뉴얼을 개발하고, 장애인들이 안전 지식을 습득하도록 돕는 역할을 했다.

SK행복나눔재단은 이 프로그램을 토대로 수원·광주·오산 4개 복지관에서 최근 발달장애인 30명을 대상으로 10주에 걸쳐 맞춤형 안전교육을 진행했다. 프로그램을 수료한 14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장애인의 재난 인식 및 대피 요령 이해도가 대폭 증가했다. 한 장애인은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 지진의 정의를 ‘흔들리고 무서움’이라고만 서술했지만 ‘세이프 투게더 프로그램’ 수료 후엔 ‘땅이 흔들려서 갈라진다’, ‘책상 식탁 탁자 밑으로 숨는다’, ‘머리를 보호해야 한다’ 등 재난 특성과 대피 요령을 정확하게 답변했다.

SK행복나눔재단은 “설문 대상은 적지만 장애인 스스로 실질적인 대피 요령을 습득했다는 점과 앞으로는 장애인을 넘어 아동, 노인 등 재난 취약계층에 다방면으로 매뉴얼을 전파·확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면서 “올해 써니의 정규 사회변화 프로그램으로 도입해 서울, 수원 지역에서 재난뿐 아니라 화재 등 다양한 안전 콘텐츠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심씨 역시 “장애인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며 큰 보람을 느꼈다”면서 “앞으로 사회공헌 업무를 맡는 게 꿈”이라고 말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9-04-03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