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냥 집사‘때문에 반려동물 시장 커졌다

‘냥 집사‘때문에 반려동물 시장 커졌다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9-04-26 13:25
업데이트 2019-04-26 13: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반려동물 돌봄(펫 케어) 시장 규모가 올해 1조 8000억원을 웃돌아 8년 전의 2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눈에 띄는 점은 성장의 주역이 ‘고양이 집사’ 때문이란 점이다. 고양이 간식 소비가 폭발적으로 늘어서다.

26일 시장 조사 기업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올해 한국 펫케어 시장 예상 규모는 15억 6960만 달러(약 1조 8182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8년 전인 2011년보다 2배 가까이 성장한 것이라고 유로모니터는 소개했다.

특히 국내 펫케어 시장의 성장 동력은 고양이에게 아낌없이 지갑을 여는 애묘인, 이른바 ‘냥 집사’로 나타났다. 2017년 짜 먹는 형식의 간식 제품을 필두로 다양한 간식이 쏟아져 나오면서 관련 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졌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고양이 펫푸드 시장은 지난해 3000억원 규모였는데, 2024년에는 4500억원 규모로 1.5배 성장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 가운데 고양이 간식 시장은 지난해 523억원으로, 2015년 78억원보다 6.7배나 급성장했다.

유로모니터는 “건강한 펫푸드 시장 성장을 위해서는 사료 급여율을 높여야 한다”며 “일본은 사료 급여율이 90%에 달하지만 우리나라는 50%에 미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