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경기 부진” 수위 높였다… 5월 수출도 마이너스 출발

KDI “경기 부진” 수위 높였다… 5월 수출도 마이너스 출발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9-05-13 23:32
업데이트 2019-05-14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DI ‘점차 부진’서 강한 어조로 바꿔

5월 1~10일 수출 작년보다 6.4% 감소
일평균 수출액은 13.6%나 줄어들어
소매판매 증가폭 확대 ‘그나마 위안’
이미지 확대
한국 경제가 부진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경기 상황에 대한 부정적 표현 수위를 끌어올렸고, 수출은 6개월 연속 감소가 우려된다. 봄바람 대신 찬바람만 부는 형국이다.

KDI는 13일 발표한 ‘KDI 경제동향’ 5월호에서 “투자와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가 부진한 모습”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경기가 점차 부진해지고 있다”에서 ‘점차’라는 표현을 빼고 좀더 강한 어조로 바꿨다. KDI는 4월 수출에 대해 “조업일수 증가 등 일시적 요인으로 감소폭(-2.0%)이 전월보다 축소됐으나, 일평균 수출액 감소폭(-5.8%)은 확대되면서 전반적인 수출 부진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관세청이 이날 발표한 이달 1~10일 수출은 130억 달러로 1년 전보다 6.4% 감소했다. 조업일수(6.5일)는 1년 전보다 0.5일 늘어난 반면 일평균 수출액(20억 1000만 달러)은 13.6%나 쪼그라들었다. 이러한 추세가 이달 말까지 이어지면 수출은 지난해 12월부터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 가게 된다.

투자 부진도 현재진행형이다. 3월 설비투자 증가율은 -15.5%에 그쳤다. 반도체 설비투자와 관련성이 높은 특수산업용기계 투자가 무려 43.7%나 감소한 영향이 컸다. 그나마 건설업체의 시공 실적을 보여 주는 건설기성은 3월에 2.9% 줄어드는 데 그쳐 1월(-10.7%)과 2월(-12.2%)의 두 자릿수 감소율에서는 벗어났다. 다만 건설투자의 선행지표에 해당하는 주택 착공과 건축 허가 면적은 각각 44.9%, 8.4%에 줄었다. KDI가 “당분간 주거 부문의 부진이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본 이유이기도 하다. 생산도 뾰족한 출구가 보이지 않고 있다. 3월 전산업 생산과 광공업 생산은 1년 전보다 각각 0.7%, 2.8% 줄었다.

소비가 풀죽은 한국 경제를 살릴 ‘구원투수’가 될지 주목된다.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액 증가율은 3월 2.4%를 기록해 1~2월 평균(1.3%)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4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1.6으로 기준치인 100을 웃돌았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소비자들의 낙관적 심리가 비관적인 심리보다 우세하다는 뜻이다. 김현욱 KDI 경제전망실장은 “소비를 중심으로 수요가 조금 완화되는 조짐이 있기는 하지만 개선이라고 하기는 어렵고 경기 부진 상태가 횡보하는 모습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9-05-14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