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방보다 신발”… 2030 명품 시장 선도

“가방보다 신발”… 2030 명품 시장 선도

심현희 기자
입력 2019-05-13 23:32
업데이트 2019-05-14 14: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밀레니얼세대 패션의 메인 아이템으로

골든구스 등 100만원 넘는 제품 ‘불티’
“명품브랜드 매출 35% 이상이 신발서”
스니커스 작년 10% 성장… 핸드백은 7%

‘가심비’(가격 대비 마음의 만족을 추구하는 소비 형태)를 중요하게 여기는 밀레니얼 세대(2030)가 명품의 주소비자층으로 떠오르면서 견고했던 명품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신발이 패션의 ‘메인 아이템’으로 자리잡는가 하면 스스로 힙하고 쿨하다고 느끼는 이들을 사로잡기 위해 전통적인 브랜드들도 ‘젊은 명품’을 지향하며 디자인 쇄신을 꾀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2030 ‘패션피플’ 사이에서 럭셔리 스니커스는 없어서는 안 될 ‘잇템’이 됐다. 골든구스, 발렌시아가, 구찌 등 100만원이 넘는 신발이 불티나게 팔려 나가고 인스타그램엔 관련 게시글이 쏟아져 나온다. 골든구스는 전 세계 최초로 한국에 지사를 내고 올해 말 강남에 직영 매장을 열 예정이다. 신세계면세점도 최근 내국인 고객이 많은 강남점에 신발 라인업을 강화했다. 한 관계자는 “유명 명품 브랜드들 매출의 35% 이상이 신발에서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요즘 명품 시장은 ‘스니커스를 사는 2030세대’가 이끌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회사 베인앤컴퍼니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 세계 럭셔리 스니커스 시장은 전년 대비 10% 성장(35억 유로·약 4조 6500억원)했지만, 핸드백 시장은 7% 성장에 그쳤다. 지난해 글로벌 명품 시장 매출 2600억 유로 가운데 33%는 밀레니얼 세대 지갑에서 나왔다.

명품 입문 아이템은 가방에서 신발로 바뀌었다. 이 관계자는 “럭셔리 가방은 최소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에 이르는 반면 신발은 비싸도 200만원을 넘지 않기 때문에 진입 장벽이 낮다”면서 “자유로운 분위기의 스트리트 패션이 유행하고, 젊은 남성들의 명품 소비도 늘어나면서 스니커스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명품 브랜드들은 종전엔 볼 수 없었던 파격 디자인으로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하고 있다. 루이비통 등 콧대 높았던 럭셔리 브랜드가 수프림 등 스트리트 브랜드와의 컬래버레이션 작업을 하는 것은 이제 필수가 됐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고리타분하고 촌스러운 이미지로 인식됐던구찌는 2015년 디자이너를 교체해 혁신적인 디자인 개편을 단행한 결과 밀레니얼 세대가 가장 사랑하는 힙한 브랜드로 거듭났다. 2014년 35억 유로였던 매출은 지난해 80억 유로로 급성장했다. 이 가운데 65%가 밀레니얼 세대 매출이다.

베인앤드컴퍼니는 “2025년 명품 시장은 최소 3200억 유로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가 55%를 차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9-05-14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