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인텔에 2분기 연속 반도체 1위 자리 내줬다

삼성전자, 인텔에 2분기 연속 반도체 1위 자리 내줬다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19-05-17 09:55
업데이트 2019-05-17 09: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전자가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2분기 연속 미국 인텔에 세계 반도체 업계 1위 자리를 내줬다. 삼성전자는 올 1분기에 전세계 주요 반도체 업체들 가운데 매출 감소폭이 가장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제품 편중에 따른 부작용 우려가 현실화된 것이다.

17일 글로벌 IT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IC인사이츠’ 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 전세계 반도체 시장 매출은 총 735억 4800만달러(약 87조 6692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878억 2000만 달러)보다 16%나 감소했다.

업체별로는 비메모리 반도체 중심의 인텔이 지난해 같은 기간(158억 3200만 달러)과 거의 비슷한 157억 9900만달러(약 18조 8324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1위에 랭크됐다. 인텔은 상위 10개 업체 가운데 가장 감소폭이 작았다.

2위 삼성전자는 128억 6700만달러로 1년 전(194억 100만달러)보다 무려 34%나 줄어들면서 상위 15개 기업 가운데 최대 감소율을 기록했다. 3위인 대만 TSMC는 16% 줄어든 70억 9600만달러를 기록했으며 SK하이닉스가 26% 감소한 60억 2300만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미국 마이크론은 54억 7500만달러로 27% 줄어들었다.

보고서는 “인텔이 지난해 4분기에 삼성전자로부터 업계 1위 자리를 탈환한 데 이어 올 1분기에도 선두자리를 지켰다”면서 “지난 2017년과 지난해 뺏겼던 ‘글로벌 반도체 권좌’를 올해는 쉽게 되찾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한편, 올 1분기 전세계 반도체 업계 ‘톱 15’ 명단에는 중국 ‘하이실리콘’과 일본 소니가 새로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인 하이실리콘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41%나 늘어나면서 1년 만에 순위가 25위에서 14위로 치솟았으며 소니도 14%의 매출 증가율로 19위에서 15위로 상승세를 보였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