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바이사고 7년째 증가… 안전모 미착용 사고 주원인

오토바이사고 7년째 증가… 안전모 미착용 사고 주원인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9-06-07 13:45
업데이트 2019-06-07 1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7년간 오토바이 교통사고가 계속 늘면서 부상자도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7일 한국교통안전공단이 발표한 최근 10년간 이륜차 교통사고 발생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총 1만 5032건의 이륜차 사고가 발생해 전년보다 9.5% 증가했다. 이륜차 사고는 2009년 1만 1522건에서 2010년 1만 950건, 2011년 1만 170건으로 연간 5∼7% 감소세를 보였지만, 이후 지난해까지 7년째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2년 1만 415건으로 전년보다 2.4% 증가한 데 이어 2013년 1만 433건(전년 대비 0.2% 증가), 2014년 1만 1758건(12.7%), 2015년 1만 2654건(7.6%), 2016년 1만376건(3.3%), 2017년 1만 3730건(5.0%), 지난해 1만 5032건(9.5%) 등으로 한 해도 빠지지 않고 증가했다.

이륜차 사고 사망자는 2009년 504명에서 2010년 434명으로 크게 줄어든 뒤 이후 430명 이하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반면 부상자는 2009년 1만 3721명에서 2011년 1만 2102명으로 줄었다가 2014년 1만 3899명, 2016년 1만 5773명, 지난해 1만8621명으로 많이 증가했다.

17개 광역시·도별 지난해 이륜차 1만대당 사고 건수는 광주(99.4건), 제주(98.4건), 부산(88.0건) 순으로 나타났다. 공단은 이륜차 사고 증가 주원인으로 신호위반·과속 등 난폭운전과 안전모 미착용 등 안전의식 미흡을 꼽았다.

특히 한국의 이륜차 운전자 안전모 착용률은 지난해 84.6%로, 스위스, 일본, 캐나다 등 선진국이 100% 가까운 착용률을 보이는 것과 비교하면 격차가 크다. 공단은 배달업체를 대상으로 한 이륜차 교통안전 체험교육 실시, 경기도 화성시에 교통안전 체험교육센터 운영 등 이륜차 사고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권병윤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무더위가 시작되며 덥다는 이유로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안전모는 안전띠처럼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안전모 착용과 안전운전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