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7년까지 인구 대도시→지방 역쏠림 심화

2047년까지 인구 대도시→지방 역쏠림 심화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9-07-08 23:32
수정 2019-07-09 02: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젊은층, 집값 부담에 서울서 경기도로…고령층은 은퇴 후 귀농·귀촌 늘어날 듯

28년 뒤에는 대도시를 떠나 지방에 인구가 몰리는 ‘역(逆)이촌향도’ 현상이 심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젊은층은 집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출퇴근이 가능한 근교로 이동하고 은퇴 후 귀농·귀촌을 하는 고령층이 늘어날 것이란 분석이다.

8일 통계청의 장래인구 특별추계 시도별 순이동 수(중위추계 기준)를 분석한 결과 2019∼2047년 서울·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 등 주요 광역시에서는 일제히 인구가 순유출되고 도(道) 지역에서는 순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47년까지 서울을 비롯해 광역시 6곳과 특별자치시 1곳의 순유출 규모는 총 139만 4000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한때 ‘1000만 인구’를 자랑하던 서울의 인구는 올해에만 6만 6000명이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2047년까지 전출자 수가 전입자보다 106만 3000명 더 많을 전망이다. 부산 순유출 추계치는 21만 3000명, 대구 18만 3000명, 광주는 13만 3000명 등으로 집계됐다.

경기는 서울 출퇴근이 가능하고 집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점에서 2047년까지 113만 9000명이 순유입할 것으로 보인다. 충남(36만 6000명)을 비롯해 강원(23만 6000명), 경북(20만 6000명), 전남(20만 3000명), 충북(20만 2000명) 등도 순유입이 예상된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9-07-0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