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후 노동이동 둔화…한번 실직하면 취업 어려워”

“금융위기 후 노동이동 둔화…한번 실직하면 취업 어려워”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9-07-11 14:21
업데이트 2019-07-11 14: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위기 이후 한번 실직자가 되면 다시 직장을 구하는 게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일 한은 조사통계월보 6월호에 실린 ‘노동이동 분석: 고용상태 전환율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2000∼2009년 사이 취직률은 28.2%였으나 2010∼2018년 25.6%로 2.6%포인트 하락했다. 취직률이란 실업자가 구직활동을 통해 한 달 후에 취업할 확률을 말한다. 취직률이 하락했다는 것은 그만큼 실업자가 실업 상태에서 벗어나기가 더 어려워졌다는 얘기다.

연구팀은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고용상태 전환율을 추정하고, 최근 노동이동의 특징을 분석했다.

취업자가 한 달 후에 직장을 잃을 확률인 실직률은 2000∼2009년 1.0%에서 2010∼2018년 0.8%로 0.2%포인트 떨어졌다. 즉 이미 직장을 잡은 이들은 취업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금융위기 이후 노동이동(노동회전율)이 둔화된 것은 경기진폭 둔화, 경제구조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고학력 노동자 증가, 생산설비의 세계화 등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의 노동이동은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 고용보호지수가 높은 유럽에 비해서는 활발한 편이나 미국보다는 경직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작성한 오삼일 한은 과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노동이동이 추세적으로 둔화했다”며 “노동이동 둔화가 향후 노동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