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일본 출장서 3개 핵심소재 긴급물량 확보한 듯”

“이재용, 일본 출장서 3개 핵심소재 긴급물량 확보한 듯”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9-07-14 15:24
업데이트 2019-07-14 16: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엿새째 일본 체류 마친 이재용 부회장
엿새째 일본 체류 마친 이재용 부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일본 출장을 마치고 12일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2019.7.12/뉴스1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최근 일본 출장 중 일본 정부가 한국 수출 규제 대상으로 지목한 3개 소재의 ‘긴급 물량’을 확보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14일 알려졌다. 3개 품목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에 필수적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FPI), 포토 리지스트(PR), 고순도 불산(HF) 등이다.

14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전날 디바이스솔루션(DS) 및 디스플레이 부문 최고 경영진을 소집해 긴급 사장단 회의를 가진 자리에서 이런 내용의 출장 성과를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추가로 확보한 물량이 어느 정도인지, 어떤 경로를 통한 것인지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지만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재고량과 함께 당장 심각한 생산 차질을 막을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다만 이 부회장이 출장 기간 확보한 물량이 현지 소재 생산업체들로부터의 직접 수입 형태는 아닐 가능성이 크다고 매체는 전했다.

일본 정부의 수출 통관 규제를 직접 벗어날 수는 없는 만큼 일본 소재 생산업체의 해외공장 물량을 우회 수입하는 데 합의를 봤거나 다른 조달처를 확보한 게 아니냐는 추측이다.

이 부회장은 지난 7일부터 12일까지 도쿄에 머물면서 현지 업계 관계자들을 잇따라 만나 해당 소재의 우회 조달 방안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면서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것은 긴급조치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진 못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긴급 물량을 일부 확보했다고 해도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한다”며 “더욱이 최근 한일 양국간 갈등 양상으로 미뤄 일본의 수입 통제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어 이 부회장은 긴급 사장단 회의에서 이에 대비한 ‘컨틴전시 플랜’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