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부터 소득 하위 40% 노인도 기초연금 월 30만원 받는다

내년 4월부터 소득 하위 40% 노인도 기초연금 월 30만원 받는다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7-27 11:11
업데이트 2019-07-27 1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복지부, 내년 기초연금 예산안에 반영…국회 법 개정 거쳐 시행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내년 4월부터 만 65세 이상의 소득 하위 40% 노인도 기초연금으로 월 최대 30만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27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예산 당국과 이런 내용으로 내년도 기초연금 예산안 작업을 하고 있다.

정부는 기초연금 최대 월 30만원 지급 대상 확대 시기를 놓고 ‘내년 1월이냐 4월이냐’ 저울질하다가 이 같은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하지만 기초연금 월 30만원 지급대상을 소득 하위 40% 노인으로 넓히려면 기초연금법 자체를 개정해야 하기에 국회 논의과정에서 시행 시기가 내년 1월로 앞당겨지는 등 변경될 수도 있다.

정부는 2014년 7월부터 기초연금을 도입하면서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재산 하위 70% 노인에 월 최대 20만원을 지급했다.

노인 빈곤 완화를 위해 2018년 9월부터는 기준연금액을 월 최대 25만원으로 올렸다. 이런 기준연금액은 해마다 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조금씩 상향 조정된다.

특히 올해 4월부터는 소득 하위 20%에 속하는 기초연금 수급 노인(약 150만명)에게 월 최대 30만원의 기초연금을 우선 지급하고 있다.

정부는 국회 여야 간 합의에 따라 기초연금 최대 월 30만원 지급대상을 내년에는 소득 하위 40%로, 2021년에는 소득 하위 70% 이내 노인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기초연금은 노인 생활에 많은 보탬이 되고 있다.

국민연금연구원이 지난해 기초연금을 받는 노인 2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보니, 86.7%가 ‘기초연금이 생활에 도움이 된다’며 만족감을 표시했다. 67.2%는 기초연금 수급액에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왔다.

2018년 9월 이후 기초연금의 기준연금액이 월 20만원에서 월 25만원으로 오른 이후의 생각이나 느낌을 물어보니, 60.5%가 ‘우리나라가 노인을 존중한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답했다.

45.2%는 ‘’생활에 여유가 생기겠구나‘는 느낌이 들었다’고 응답했다.

기초연금 수급 후 39.3%는 ‘병원에 가는 부담이 줄었다’고 했고, 31.6%는 ‘내가 원하는 것을 살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했다.

기초연금의 사용처는 식비(66.3%), 보건 의료비(14.0%), 주거 관련비(13.3%) 등 순으로 나타나 기본적인 생활 유지에 활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노인의 노후소득을 보장하고자 2014년 7월 도입돼 올해로 시행 5주년을 맞았다. 소득·재산 하위 70% 노인에게 지급된다. 올해 선정기준액은 65세 이상 단독가구 월 137만원, 부부가구 월 219만2천원이다.

기초연금 수급자는 올해 3월 현재 520만6천182명으로 제도도입 당시 423만8천547명보다 22.8% 늘었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 대비 수급자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 3월 기준 수급률은 67.3%로 사상 최고치였지만 정부 목표치인 70%에는 못 미쳤다.

수급률이 목표치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거주 불명자(10만명)와 공무원·사학·군인 등 특수직역연금 일시금 수급자(12만명), 기타 소득·재산 노출을 꺼리는 노인 등이 기초연금을 신청하지 않기 때문으로 정부는 추정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