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채 증가속도 세계 3위… 19년간 연평균 14.4% 올라”

“정부 부채 증가속도 세계 3위… 19년간 연평균 14.4% 올라”

한재희 기자
입력 2019-09-02 23:24
업데이트 2019-09-03 0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경연 분석… 재정 건전성 강화 조치 필요

GDP 대비 비율 43개국 중 32위 ‘안정적’

2000년 이후 우리나라 정부 부채의 증가 속도가 세계에서 세 번째로 빨라 재정 건전성 강화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일 국제결제은행(BIS) 비금융 부문 신용통계로 정부·기업·가계의 부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정부 부문의 부채(자국통화 기준)가 2000∼2018년에 연평균 1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아르헨티나(29.2%)와 중국(17.9%)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증가율이다. 다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은 지난해 38.9%로 주요 43개국 중 32번째로 안정적인 편이었다.

한경연은 고령화 요인으로 정부의 연금·의료 지출이 급증하면서 정부 부채가 미래의 재정을 갉아먹는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4월 2015~2050년 개별국가 정부의 연금·의료지출 증가를 추정해 산출한 정부 잠재 부채에 따르면 한국은 GDP 대비 159.7%로 세계 42개국 평균 77.4%의 2.1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가계부채는 GDP 대비 97.7%로 43개국 중 7번째로 높았다. 가계부채 증가 속도는 2000∼2018년에 연평균 9.8%로 15번째로 빨랐다. GDP 대비 기업부채는 지난해 43개국 평균이 1.5% 포인트 하락해 94%를 기록할 때 한국은 오히려 98.3%에서 101.7%으로 3.4% 포인트 늘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9-09-03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