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나왔지만… 가맹점 전국 3만개 그쳐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나왔지만… 가맹점 전국 3만개 그쳐

조용철 기자
입력 2019-09-12 18:00
업데이트 2019-09-12 1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추석 연휴를 앞두고 정부가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발행을 시작했지만 가맹점은 3만여 곳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가맹점 확보가 제때 이뤄지지 못할 경우 사용자 확보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제로페이’의 전철을 밟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2일 중소벤처기업부 등에 따르면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으로 결제가 가능한 전통시장 상점은 3만곳 수준이다. 지류 상품권(종이 상품권) 가맹점 숫자가 19만 곳인 점을 감안하면 소비자가 불편없이 모바일 상품권을 쓰기에는 부족한 숫자다.

제로페이와 마찬가지로 고객이 가맹점에 비치된 QR코드를 결제 앱으로 촬영하면 결제가 이뤄지는 방식도 소비자의 편의성의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꼽힌다. 정부가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발행 전 진행한 외부 연구요역에서도 QR코드를 활용한 결제 방식으로는 상품권 안착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 지적된 바 있다.

당시 연구에서는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도입 방식의 필수 요건으로 ‘사용성과 편리성이 확보될 것’, ‘오픈식 매대, 좌판 등 모든 형태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할 것’이 제시됐다.

이와 관련해 중기부 관계자는 “이용자 불편이 없기 위해서는 약 5~6만개의 가맹점이 필요하다”면서 “아직 도입 초기인 만큼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가맹점 숫자로 늘려가겠다”고 설명했다. 현재 모바일 상품권 가맹점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 내 ‘전통시장통통’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온누리 모바일상품권은 농협(올원뱅크), 경남은행(투유뱅크), 광주은행(개인뱅킹), 대구은행(DGB아이M뱅크), 부산은행(썸뱅크), 전북은행(뉴스마트뱅킹) 등 6개 결제 애플리케이션에서 구매·결제가 가능하다. 개인 구매일 경우 2000억원 발행까지 10% 할인이 적용되고, 매월 50만원까지 할인을 받아 구매가 가능할 수 있다. 앱에서 상품권을 구매하면 구매 금액이 포인트로 충전돼 결제 시 금액만큼 차감되는 방식이다.

중기부는 오는 10월부터는 ‘개인 선물하기’ 기능을 추가하는 등 모바일상품권에 대한 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